정부의 한발 물러섬에도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이 없자 결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나서 '복귀를 독려'하는 최후 통첩을 날렸다.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를 비롯한 고려대·연세대 등 서울 소재 8개 의과대 학장들은 교수, 학생, 학부모 등에게 학생들의 복귀를 설득하라는 내용을 담은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서한에는 미복귀 의대생들은 "학칙에 따라 제적 또는 유급 처리 될 수 있다"며 "더이상의 학사 유연화 혹은 집단행동으로 인한 휴학은 인정될 수 없다. 학칙에 따라 처리한다"는 강경한 입장이 포함됐다.
이는 각 대학·의대 학장이 제안한 '3월까지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2026년도는 의대 정원을 증원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정부가 수용했지만,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자 각 대학에서 강경 대응으로 나선 것이다.
서울대 의대는 오는 27일까지 휴학을 철회하고 복학원 제출, 고려대 의대는 최종 등록·복학 신청 마감 기한을 21일로 공지했으며, 연세대 의대는 24일까지 특별 교육 일정으로 편성해 이후 복귀는 불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내년 의대 증원 철회에 시민단체와 환자단체 측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재차 "의료개혁 중단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는 오늘(12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참석해 "의대 증원인 무효가 된 것이 아니다. 2027년부터는 추계위원회를 통해 필요한 만큼 증원이 될 것이다. 의료개혁은 계속 진행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학생들이 돌아오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판단해 의료계의 결정을 교육부가 수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단체 행동 참여를 강요했다는 의혹이 일자 경찰이 수사에 나서며 학생들의 복귀에 힘을 싣고 있다.
충청북도경찰청은 최근 "충북대 의대 재학생이 1학년들에게 수업 거부 및 휴학 등 단체 행동을 강요했다"는 교육부 신고를 받았으며, 사실 관계 확인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