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총 20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동국제약, 신규 마시는 골다공증약 개발 속도…돌파구 될까
동국제약이 신규 마시는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0일 동국제약의 'DKF-335'에 대한 임상 1상을 승인했다.DKF-355의 대상질환명은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와 예방,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로, 18세 이상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대조약은 한림제약의 리세넥스플러스정(성분명 리세드론산나트륨2.5수화물+콜레칼시페롤농축물)으로, 이 약은 1정을 매주 1회 경구 투여한다.동국제약은 기존 정제를 액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을 진행 중으로, 지난 2022년 7월 임상 1상을 승인 받
조정희 기자11-24 16:00 -
"트럼프 2기 관세, 공급망 구조 재편"…韓 제약바이오 대응책 필요
미국의 제약바이오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현실화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새로운 기회와 위험 요인에 직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2기 정책 변화를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공급망 구조를 재편하게 되는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대응책 필요성이 강조됐다.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4일 서울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2025 KPBMA 커뮤니케이션 포럼'에서 "트럼프 정부 2기가 추진할 관세 정책이 한국 제약 수출 구조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트럼프 2기, 제약·바이오
조정희 기자11-24 15:22 -
유유헬스케어, 강원도 횡성 제2공장 착공…175억원 투자
유유헬스케어가 강원도 횡성군에 연간 200억 규모 생산이 가능한 제2공장 착공을 진행했다.24일 회사 측에 따르면 이는 지난 2020년 연간 500억 규모 생산이 가능한 1공장을 준공한지 5년만에 진행되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성장세에 따라 보다 다양한 제형의 생산 라인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유유헬스케어 제2공장은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상하가리 일원에 조성된 우천일반산업단지 1만 7922㎡의 부지에 7061㎡ 면적으로 증축되며 연질캡슐 및 액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생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175억원을 투자해 증설하는 제2공장
조정희 기자11-24 09:08 -
제약바이오 인력수급 불균형 심각…‘대규모 인력양성’에도 인력부족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에서 제조·임상·기술이전 등 핵심 직무의 인력 부족률이 제조업 10대 분야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대규모 실습 기반의 인력양성 인프라를 본격 가동하고 있으나, 현장 수요에 크게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21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KPBMA FOCUS'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 제조 시장은 2024년 5890억 달러(약 820조원)에서 2033년 1조 2039억 달러(약 177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약개발 트렌드가 모달리티티(modality) 중심에서 희귀·혁신의약품 중심으로 변
조정희 기자11-21 12:13 -
HK이노엔, 근감소증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임상 2상 추진
HK이노엔이 근감소증 치료제 개발에 본격 나서며 노인성 질환 및 대사질환 포트폴리오 확장에 속도를 낸다.HK이노엔은 최근 카인사이언스와 염증 조절 펩타이드 기반 신약 후보물질인 'KINE-101'의 근감소증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K이노엔은 KINE-101의 국내 임상 2상 수행을 주도하고, 카인사이언스는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 및 기술지원을 담당한다. 양사는 내년 임상 2상 진입을 목표로 신속한 임상 진입과 국내 사업화 가능성 확보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KINE-101은
조정희 기자11-18 09:18 -
GC녹십자, 배리셀라주 2도즈 베트남 임상 3상 IND 신청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자사의 수두백신 ‘배리셀라주’의 2도즈(2회 접종)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베트남 보건부(Vietnam Ministry of Health)에 제출했다고 14일 밝혔다.회사 측은 지난 10월 태국에서 승인받은 임상과 이번 베트남 임상을 2027년까지 완료한 뒤, 2028년부터 수두백신 2도즈 시장에 본격 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이번 동남아 지역 임상은 미국 머크(MSD)의 수두백신인 바리박스(Varivax)와 직접 비교 임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배리셀라주의 2도즈 접종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입
조정희 기자11-14 11:55 -
젬백스, 'GV1001' 다발성경화증서 신경 보호 효과·작용 기전 규명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은 다발성경화증 동물모델에서 GV1001의 신경 보호 효과와 작용기전을 규명한 논문이 생화학·약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케미컬 파머칼러지(Biochemical Pharmacology, IF 5.6)’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젬백스는 이 연구를 통해 GV1001의 신경 보호 효과와 신경퇴행성질환에서의 작용 기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이번 연구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석경호 교수팀이 수행한 것으로, 연구진은 다발성경화증의 대표 동물모델인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
조정희 기자11-12 16:04 -
메타비아, 美 간학회서 MASH 치료제 임상 2a상 추가 분석 결과 포스터 발표
동아에스티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지난 7일 개막한 미국간학회(AASL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연례학술대회 The Liver Meeting 2025에서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 개발중인 ‘Vanoglipel(바노글리펠, 프로젝트명: DA-1241)’의 임상 2a상 추가 분석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Vanoglipel은 GPR119 작용 기전의 First-in-Class 경구용 합성신약이다. 동물실험결과에서 혈당
조정희 기자11-11 09:41 -
한미약품, 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한미약품은 지난 4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에서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와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 등 2개 비만 신약에 대한 4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한미약품은 다층적 기전과 차별화된 전략을 토대로 HM17321과 HM15275를 각각 비만치료 영역에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과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을 향해 임상 개발
조정희 기자11-10 18:02 -
신라젠, 'BAL0891·면역항암제' 병용 전략 SITC서 공개
신라젠(대표 김재경)은 First-in-class 항암제 ‘BAL0891’의 연구 결과 2건이 미국면역항암학회 연례학술대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 2025)에서 발표됐다고 10일 밝혔다.미국면역항암학회(SITC)는 글로벌 항암제 개발 기업과 주요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 전문 학회로 올해는 이달 5일부터 9일까지 미국 메릴랜드에서 개최됐다. 신라젠은 이번 발표에서 ‘BAL0891’의 독창적인 면역조절 기전과 면역항암제 병용 전략의 과학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조정희 기자11-10 10:00 -
종근당, 美 주요 학회서 잇따라 혁신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 발표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최근 미국에서 열린 주요 국제 학회에서 항암 및 대사질환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를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종근당은 지난 2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World ADC 2025’에서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반 항암 신약 후보물질 ‘CKD-703’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CKD-703은 종근당이 독자 개발한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c-Met) 타겟의 단일클론항체에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개발 중인 약물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지난
조정희 기자11-10 09:47 -
인다파미드 결합 고혈압 복합제 개발 속도전… 대웅·신풍·안국 '3파전'
국내 제약업계가 이뇨제인 인다파미드를 결합한 고혈압 복합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지난 6월 미국 FDA가 인다파미드가 포함된 새로운 조합의 3제 복합제 '위다플릭(성분명 텔미사르탄+암로디핀+인다파미드)'을 허가한 후 해당 복합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주목받고 있다.국내에서 인다파미드를 결합한 고혈압 복합제를 개발하고 있는 주요 제약사로는 대웅제약, 신풍제약, 안국약품 등이 꼽힌다.인다파미드는 체내에서 나트륨, 염소, 물의 배설을 촉진해 체액을 줄이고 혈액량을 감소시키는 등 단독 또는 다른 약물과 병용해 고혈압 치료에
조정희 기자11-10 06:00 -
국제약품, 점안제 생산시설 증설…약 93억원 투자
국제약품이 최근 증가하고 안과용 점안제 수요에 대응하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시설 확대에 나선다. 국제약품(대표 남태훈)은 7일 공시를 통해 안과용 점안제 생산라인 추가 구축을 위한 약 93억원 규모의 설비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국내외에서 증가하는 점안제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제품 공급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 강화하기 위해 단행했다.국제약품은 "현재 점안제 수요 증가에 따라 기존 생산라인을 풀가동 하고 있지만, 제품 판매 확대와 더불어 수탁생산(CMO) 물량 증가가 이어지면서 기존 설비만으로는 생산
조정희 기자11-07 11:01 -
한미약품 비만신약, 美 FDA 임상 1상 승인…세계 첫 ‘근육 증가’
한미약품은 지난 4일(미국 현지시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코드명: HM17321)’의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6일 밝혔다.이번 임상 시험에서는 건강한 성인 및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7321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 등을 평가한다.HM17321은 단순히 근 손실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비만 혁
조정희 기자11-06 09:46 -
'mRNA의 시대' 저물고 결합·재조합 백신 다시 부상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뒤 백신산업은 빠른 속도로 '뉴노멀'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폭발적 수요 이후의 조정기 속에서도 전 세계 백신 시장은 규모와 기술 면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백신 시장은 약 359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9년에는 457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성장률은 4.0% 수준이다. 지역별 점유율은 북미(52%), 유럽(22%), 아시아-태평양(20%) 순으로 나타나며 팬데믹을 계기로 확립된 생산·유통 체계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소영 기자11-06 06:00 -
동아ST-메타비아, 비만치료제 ‘DA-1726’ 데이터 포스터 발표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와 동아에스티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4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개막한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에서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및 신규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DA-1726은 Oxyntomodulin analogue(옥신토모듈린 유사체) 계열의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다. GLP-1 수용체와 Glucagon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해 식욕억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 및 말초에서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조정희 기자11-05 14:55 -
LG화학, '포티브다' 병용 후보물질 도입…신장암 새 치료법 개발 본격화
LG화학이 미국서 판매 중인 신장암 치료제 ‘포티브다(FOTIVDA, 성분명 Tivozanib)’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유망 신약물질을 도입, 기존에 없던 새 치료법을 제시한다.LG화학은 5일 자사의 미국 항암사업을 담당하는 아베오(AVEO)가 현지 바이오텍 하이버-셀(HiberCell)과 임상 1상 단계 신약물질 'HC-5404'의 글로벌 독점 개발 및 옵션 행사 권리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다가올 임상 1b상을 직접 진행하며, 2상 단계에서 해당 물질의 글로벌 독점 실시권을 확보할 수
조정희 기자11-05 09:20 -
셀트리온, 항체 기반 신약 2종 독점적 권리 확보…최대 약 1조 620억원 규모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텍과 최대 약 1조 620억원 규모의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하며 신약 후보물질 2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셀트리온은 4일 미국 메릴랜드주(州)에 소재한 바이오텍 카이진(Kaigene)과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2종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카이진은 병인성 자가항체를 분해하는 기술인 PDEGTM(Pathogenic Antibody Degrader) 플랫폼을 활용한 다중 항체 신약 개발에 특화된 바이오텍으로, 특히 자가면역질환 분야의 차세대 치료제 발굴에
조정희 기자11-04 09:54 -
일동제약그룹 ‘바이오 유럽’ 참가…‘GLP-1RA 비만약’ 등 소개
일동제약그룹은 ‘2025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파트너링 미팅 등 사업 활동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바이오 유럽’은 제약·바이오 산업과 관련한 유럽 최대 규모의 학술 및 비즈니스 교류의 장으로, 올해 행사는 5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다.일동제약그룹 측은 행사 기간 동안 글로벌 파트너사를 포함한 다수의 해외 기업들과 연구개발, 라이선스 아웃(기술 이전) 등 신약 사업화와 관련한 협업을 타진할 계획이다.일동제약과 유노비아의 경우 비만·당뇨를 겨냥한 GLP-1 RA(글루카곤
조정희 기자11-03 13:44 -
SK바이오팜, 美 인테론과 자폐증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착수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은 지난달 31일 미국 보스턴 소재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Interon Laboratories)과 신경면역(Neuroimmune) 시스템 조절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기존 뇌전증 중심의 연구개발을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를 확장하는 전략적 행보다. 신경면역은 신경계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으로, 높은 연구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중추신경계(CNS)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돌파구로
조정희 기자11-03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