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총 206,430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국제약품, 'mPGES-1 타겟 관절염 및 통증 치료제' 정부 과제 선정
국제약품(대표이사 남태훈)은 개발중인 mPGES-1 타겟 염증저해기전의 관절염 및 통증 치료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에서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비임상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국제약품은 최근 국가신약개발사업단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향후 2년간 임상1상 IND(임상시험계획서) 승인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고 26일 밝혔다.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범부처 국가 R&D 사업으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국가프로젝트
기업조정희 기자11-26 10:04 -
신풍제약,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아보시알정' 발매
신풍제약은 오는 12월 1일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아보시알정'을 발매한다고 26일 밝혔다.아보시알정은 올해 1월 국내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시장에 새롭게 품목허가를 받았던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성분 복합 개량신약으로, 세계 최초로 두 성분을 하나의 제형으로 구현한 제품이다. 두타스테리드는 전립선 비대의 주요 원인인 호르몬 생성을 억제해 전립선 크기를 줄이고, 타다라필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LUTS)을 개선한다.두 성분의 이중효과를 통해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하부요로증상(LUTS) 개선과 질환의 근본
신제품조정희 기자11-26 09:47 -
제일파마홀딩스, 계열사 통합 CP운영위원 정기 간담회 개최
제일파마홀딩스(대표이사 한상철)는 25일 서초동 본사에서 제일약품, 제일헬스사이언스를 포함한 전 계열사가 참여한 가운데 ‘CP(Compliance Program) 운영위원 정기 간담회’를 개최하고, CP 위험성 평가 우수 부서에 대한 시상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간담회는 최근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쳐 강화되고 있는 공정거래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 계열사의 CP 운영 체계를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 마련됐다.제일파마홀딩스는 CP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리스크 진단과 개선 활동을 지속해 왔으며, 올
기업조정희 기자11-26 09:27 -
동아쏘시오그룹, 중대재해 대응 모의훈련 실시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지난 25일 서울 동대문구 본사 WINGS(윙스)에서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및 협력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중대재해 대응 모의훈련은 구성원의 응급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이번 훈련에는 본사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ST, 동아제약, DA인포메이션, 동아오츠카 임직원과 협력사 근로자들이 참여했다.실제 위기 상황을 가정한 실습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했으며 동대문소방서가 훈련을 진행했다. 참
기업조정희 기자11-26 09:25 -
휴젤, 부산·대구서 'HELF ACT' 릴레이 개최
휴젤은 국내 의료진 대상 교육을 강화하며, 부산과 대구에서 ‘HELF: Advanced Clinical Techniques(이하 HELF ACT)’ 프로그램을 연속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휴젤 글로벌 심포지엄 H.E.L.F.(Hugel Expert Leader's Forum)의 하위 프로그램인 HELF ACT는 국내 의료 미용 입문 의료진을 위한 실전 중심 세미나로, 이론 강의부터 라이브 시연까지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먼저 부산 웨스틴 조선에서 열린 세미나에는 박신혜 미호의원 원장, 배우리 나인원의원 원장, 최우식 라마르
기업조정희 기자11-26 09:04 -
'근거중심' 국가암 진료 표준체계 확립…"이제 현장·환자 중심 생태계로"
국가암진료가이드라인사업단이 지난 5년간 국내 암 진료의 표준을 '근거중심(Evidence-based)'으로 재정립하며 국가 단위 암 진료 체계를 완성했다.대한암학회를 비롯한 전문학회들이 강조해온 '근거 기반의 표준 암진료 구축'이 국가 사업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제2기 사업은 이러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실제 진료현장과 환자에게 확장하는 방향으로 본격 진입한다.특히 사업단은 18개 종양·171개 핵심질문(KQ)에 대한 표준 암 진료 가이드라인을 완성하며 국가 암 진료의 공통 기준을 구축해 한국형 근거중심 암진료로 나아갔다는 평가를
학술이소영 기자11-26 06:01 -
政, 이중약가제 확대 구상…신약 접근성 vs 산업 리스크
정부가 신약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이중약가제(약가유연계약제) 적용 대상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약가제도 전반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현재 항암제.희귀질환 치료제 위주로 제한 적용되는 별도 계약 방식이 일반 대체약제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자 업계와 시민단체는 "약가제도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복지부, 이중약가 구조 제도화 수순보건복지부는 신약 등재 촉진과 제약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위험분담계약(RSA)을 보완한 '약가유연계약제' 도입을 공식적으로 검토 중이다. 이 제도는
정책이소영 기자11-26 06:00 -
지역 의료공백 속 '한의사 활용'...공백 대응인가, 새 갈등의 신호인가
공중보건의 급감으로 상당수 보건지소가 의사 공백에 놓이자 정부가 한의사 활용을 검토하고 있지만, 지역보건의료체계를 조정할 전담부서가 사라진 구조적 공백 속에서 단기 처방만 거론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로 인해 직역 간 갈등이 재점화되고 현장의 불안정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국회입법조사처가 최근 발간한 '법·제도의 공백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보건의료기관' 보고서는 보건소·보건지소·보건진료소를 총괄하는 전담부서의 부재가 지역보건의료체계의 조정 기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의료과 기능 개편 이후 보건지소·보
병원권연수 기자11-26 06:00 -
'디엠듀오' 특허 1심 선고 앞두고 제네릭 허가 신청 잇따라
현대약품의 치매 복합제 '디엠듀오정(성분명 도네페질+메만틴)'을 둘러싼 특허 분쟁이 1심 판결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제네릭 허가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1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후발 제약사들이 잇달아 시장 진입 채비에 나서면서 향후 판결 결과가 주목된다.식품의약품안전처 통지의약품 현황에 따르면 지난 14일자로 도네페질염산염수화물+메만틴염산염 복합제의 허가 신청 1건이 접수됐다.디엠듀오는 현대약품이 개발해 지난해 10월 허가를 받은 최초의 도네페질과 메만틴 복합제로, 그 해 12월 공동개발사 7개사도 동일성분 제제를 허가 받았다.허가
치료제조정희 기자11-26 06:00 -
"집을 팔아야 하나"…DLBCL 생존 조건, 1억 치료비에 한숨
"치료를 시작해야 할 4기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환자의 보호자가 1억 원 치료비 때문에 '집을 팔아야 하느냐'고 묻는다. 급여를 기다리다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대한혈액학회 김석진 이사장(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의 발언이다. 그는 지난 25일 한국로슈가 주최한 미디어 세미나를 통해 환자 생존권과 제도의 괴리에 대해 호소했다. 김석진 이사장은 한국의 DLBCL 치료체계를 "선택지 자체가 없는 구조"라고 규정했다. 그는 해외 림프종 전문의들에게 "1차는 알찹(R-CHOP)밖에 없고 2차는 오래된 세포독성 치료만
치료제박근빈 기자11-26 06:00 -
난치암 맞춤치료 구축 성과…'KOSMOS-II', 복지부 장관상 수상
한국형 정밀의료 네트워크 연구 ‘KOSMOS-II’가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표준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치료 전략을 제시한 성과와 전국 단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표준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유전자 시퀀싱(NGS)을 활용해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다. 2025년 11월 기준 등록 환자 수는 910명으로 목표 대비 91%를 달성했다.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지원 아래 대한종양내과학회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가 주관하고 있다.
단체권연수 기자11-25 18:24 -
[11월 25일 의료계 소식] 경희의료원 연동건 교수, 질병청장 표창...한양대 안성준 교수, 한길학술상 수상 外
경희의료원 연동건 교수, 감염병 데이터 활용 공로로 질병청장 표창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가 감염병 빅데이터 구축·활용 분야 공로를 인정받아 11월 21일 질병관리청장 표창을 받았다.연동건 교수는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연구에서 성과를 거뒀으며, 코로나19 후유증과 주요 질환 간 발병 메커니즘을 규명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다. 연 교수는 "의료 빅데이터와 AI 기반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의생명과학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양대병원 안성준 교수, 대한안
병원소식권연수 기자11-25 16:54 -
삼일제약 베트남 플랜트, ISO 14001·ISO 45001 통합 인증 획득
삼일제약(대표 허승범)은 100% 자회사인 베트남 CMO/CDMO 플랜트가 영국계 글로벌 인증기관인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로부터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45001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이날 사이공하이테크파크(SHTP) 내 위치한 삼일제약 베트남 플랜트에서 열린 인증 수여식에는 권태근 부사장(경영혁신본부장 겸 경영지원본부장)을 비롯한 삼일제약 임직원과 BSI 홍보∙커뮤니케이션 담당 이사가 참석했다.ISO 14001과 450
기업조정희 기자11-25 16:21 -
GC녹십자웰빙, '라이넥주 좌담회…간 질환 치료 활용 사례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은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종합병원(이하 GH) 간 질환 치료의 최신 지견’을 주제로 간 질환 치료에서의 라이넥주 활용 사례를 공유하는 좌담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좌담회는 GH 및 클리닉 현장에서의 라이넥주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간 질환 환자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좌장은 김승업 교수(세브란스병원)가 맡았으며, 연자로는 ▲나선화 과장(필립메디컬센터,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조유리
기업조정희 기자11-25 16:19 -
"20년 표준 뒤집힌다"…로슈, DLBCL 치료판 흔드는 신약전략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치료에 격변이 시작됐다. 20여 년간 이어진 알찹(R-CHOP) 중심의 1차 치료 표준이 ADC·이중특이항체 등장으로 사실상 교체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제기되면서다. 폴라투주맙 기반 치료 전략과 재발·불응 환자를 겨냥한 컬럽리맵 데이터가 공개되며 국내 치료 패러다임 변화가 본격화할 전망이다.한국로슈는 25일 서울에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치료전략을 주제로 미디어 세미나를 열어 ADC·이중항체 등 신기전 치료제 중심의
치료제박근빈 기자11-25 15:18 -
의수협-규제과학센터, 대한민국약전 과학적 기반 마련 MOU 체결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류형선, 이하 협회)는 한국규제과학센터(센터장 박인숙, 이하 센터)와 25일 서울 포스트타워 규제과학 아카데미(서울 중구 소재)에서 규제과학과 대한민국약전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대한민국약전 관련 공동 연구 및 네트워크 구축 협력 ▲시험검사 분야 규제과학 전문 인재 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국내외 공정서 등 규제과학 최신 동향 정보 교류 ▲규제과학 및 대한민국약전 관련 포럼·세미나 등 행사 개최 협력 등이다.양 기관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
기업조정희 기자11-25 14:52 -
침윤성 간세포암, 항암제 내성의 유전·단백질 기반 원인 규명
분당차병원 연구팀이 유전체·단백체 분석을 통해 침윤성 간세포암이 면역항암제 병합치료에 낮은 반응을 보이는 생물학적 원인을 규명했다. 영상·임상·분자 정보를 통합 분석해 침윤성 간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연구로,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IF 16.9)에 게재됐다.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암센터 종양내과 전홍재·김찬 교수, 이원석 연구교수와 병리과 황소현 교수 연구팀은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 임상, 유전 정보를 종합 분석해 침윤성 간암의 특징을 확인했다.연구팀은
학술권연수 기자11-25 13:22 -
암 병기 판단 속도·정확도 모두 높인 AI 임상추론 기술 개발
아주대병원 연구팀이 영상·병리 보고서를 기반으로 암 병기 예측 정확도를 기존 대비 약 30% 높인 AI 임상추론 기술을 개발했다. 병원 내부 환경만으로도 실시간 추론이 가능한 경량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보여줬다.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허재성 교수 연구팀(허재성 교수·김선화·박준형 연구원)은 실제 임상에서 생성되는 영상·병리 보고서를 활용해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암 병기(AJCC)와 종양 반응 평가(RECIST)에 따른 임상 판단까지 수행하는 AI 임상추론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암 환자 4200여
학술권연수 기자11-25 13:21 -
삼성바이오에피스, 부사장 2명·상무 4명 승진…혁신 선도 차세대 리더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 사장)는 성과와 역량 기반이 인사 원칙 아래, 탁월한 업적을 통해 회사에 기여하고 미래 혁신을 선도할 차세대 리더를 중심으로 부사장 2명, 상무 4명 등 총 6명의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25일 밝혔다.승진 임원은 부사장으로 승진한 신동훈 개발2본부장과 신지은 개발1본부 MSAT(Manufacturing Science & Technology)팀장 2명이며, 손성훈 법무그룹장과 안소신 PE(Product Evaluation)팀 임상개발그룹장, 이남훈 전략팀 사업전략그룹장, 정의한 RA(Regulator
인사조정희 기자11-25 11:57 -
일동제약 '키드큐 시리즈', 굿디자인(GD) 상품 선정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은 건강기능식품 ‘키드큐 시리즈’가 2025년도 ‘우수디자인(굿디자인, GD) 상품’으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굿디자인 상품 선정’은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하여 정부가 인증하는 ‘GD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다.일동제약의 ‘키드큐 시리즈’는 아이들의 건강과 성장에 필요한 성분 및 원료를 과학적으로 설계해 만든 건강기능식품이다.‘키드큐 시리즈’는 ▲면역력·기억력을 고려한 ‘키드큐 홍삼 젤리’ ▲비타민·무기질 5종이 함유된 ‘키드큐 비타 젤리’
기업조정희 기자11-25 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