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 노디스크의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제품 생산을 늘리기 위해 165억 달러 규모의 메가딜이 올해 1분기 바이오파마 기업의 M&A를 주도했다.

리서치 업체인 이벨루에이트(Evaluate)의 2024년 1분기 보고서를 보면, 2020년 시작 이후 분기별로 5번째로 높은, 올해 1분기 총 선급금 364.6억 달러 이상인 48건의 M&A 거래가 보고됐다.

1분기 동안 100억 달러 이상의 1건을 포함해 7개 바이오파마 인수가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노보 홀딩스가 미국 계약 개발 및 제조업체(CDMO)인 카탈렌트를 165억 달러에 인수해, 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노보는 항당뇨병제 오젬픽(Ozempic)과 라이벨수스(Rybelsus), 항비만제 위고비(Wegovy)의 주성분인 GLP-1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의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거래이다.

1분기 다른 M&A 거래는 규모가 현저히 작았다.

1분기 M&A 거래는 48건으로 전분기 39건보다 증가했지만, 작년 4분기에는 4건의 인수 금액이 70억 달러 이상, 2건은 100억 달러 이상이었다.

다른 주목할 M&A는 지난 3월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미국 싸이마베이 테라퓨틱스(CymaBay Therapeutics)를 43억 달러에 인수한 것과 지난 2월 노바티스가 독일 종양학 중심 바이오 제약사 모포시스(MorphoSys)를 29억 달러에 인수한 것이었다.

길리어드가 싸이마베이 테라퓨틱스와 원발성 담도염에 대한 3상 PPAR 델타 작용제 셀라델파(seladelpar)를 43억 달러에 인수는 1분기 두 번째 큰 M&A였다.

싸이마베이는 작년 12월에 후보물질에 대한 신약 승인을 신청해 미국 FDA에서 8월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노바티스와 모포시스의 딜은 세 번째로 큰 1분기 거래이다.

모포시스는 골수섬유증 후보 펠라브레시브(pelabresib)에 대한 다수 3상 연구 데이터를 보고했다.

1분기에 20억~30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다른 4건의 M&A가 있었다.

최소 10억 달러의 선급금으로 계약한 M&A는 7건인 반면, 다른 2건의 거래는 잠재적 총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이었지만, 선급금은 이런 기준치를 밑돌거나 보고되지 않았다.

                                                   1분기 톱5 M&A
                                                   1분기 톱5 M&A

대형 제약사들이 인기있는 약물 계열로 포트폴리오의 보충을 탐색하는 등, 항체-약물 접합체(ADC)와 방사성 의약품을 개발하는 회사들은 1분기에 높은 M&A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 3월 J&J가 미국 ADC 기업 앰브릭스 바이오파마(Ambrx Biopharma)를 20억 달러에 인수, 아스트라제네카가 미국 방사선 제약사 퓨전 파마슈티컬스(Fusion Pharmaceuticals,)를 20억 달러에 인수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종양은 1분기에 M&A 거래의 최고 치료 영역으로 총 290억 달러의 거래 가치를 기록했다.

반면, 면역학 초점 M&A는 1분기 140억 달러 가치로 전년동기 대비 314% 급증해,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1분기 노보, J&J, 길리어드, 노바티스 등 대형 바이오파마와 관련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M&A 거래가 증가했다.

올해 남은 기간에도 연구개발과 혁신의약품 출시를 가속화할 수 있는, 빅 파마 업체로부터 지속적인 M&A 투자가 예상된다.

한편, 제약사들은 딜을 위해 5000억 달러 이상의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투자은행인 제프리스(Jefferies)의 Michael Yee 애널리스트는 8일(현지시각) 메모에서, 제약 업계는 올해 들어 지금까지 상당한 규모의 M&A를 했고, 2024년 남은 기간 동안 더 많은 거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지금까지, 제약업계에서 평균 26억 달러 규모의 13건 M&A가 있었고, 이는 대부분 초기 단계, 볼트-온 거래였다.

제약사들은 더 많은 거래를 할 수 있는 총 5000억 달러 이상을 보유하고 있고, 심장대사 질환, 항체-약물 접합체(ADC) 등 인기있는 분야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