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이 장기화됨에 따라 여·야가 나서 사태 해결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지만 첫 걸음부터가 쉽지가 않다. 

여전히 대한의사협회는 '의대증원 백지화', '원점 재검토'를 외치고 있는 상황으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완전체 구성까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여야의정 모두 협상테이블에 앉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앞서 지난 5일부터 여야 정치권에서는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의견을 모으고 의료계 참여를 촉구했다. 이는 추석 연휴 의료대란 사태를 막기 위한 대안으로 여야와 정부가 의견을 모은 것이다. 

그러나 대한의사협회가 협의체 참여 조건으로 2025년과 2026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면서, 구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2026년 이후 증원 인원에 대해서는 숫자에 구애 없이 재논의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나 협상 테이블을 열었지만, 의료계는 여전히 원점 재논의만 주장하고 있어 간극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6일 여야의정협의체 제안에 대해 "2025년 의대 정원 원점 재논의가 불가한 이유와 근거는 도대체 무엇인가"라며 반문하며, "의대 증원 백지화는 전공의 복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9일에는 '의료정상화를 위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며, 과거 약속한 의정합의의 결과를 밝히고, 미이행 건에 대한 실행을 촉구했다. 

의협은 “2025년 포함해 모든 증원을 취소하고, 현실적으로 논의가 가능한 것은 2027년 의대 정원부터”라며 “투명하고 과학적 추계방식으로 양자가 공정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필수의료정책패키지 폐기도 요청했다. 

특히 의협은 "현 시점에서 의대 정원을 논의할 수 있는 가장 빠른 학년은 2027년"이라며 "2025년 5월까지 논의해 정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부터 난항이 지속되자 야당에서 정부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9일 최고위원회에서 "정부와 여당은 자존심보다 국민들의 생명을 지킨다는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정부는 여야의정 협의체로 책임을 떠넘기고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