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화이자와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추가 계약을 체결해 상반기 백신 접종 공급 불확실성을 해소했다. 

질병관리청은 16일 화이자 백신 300만 명분 추가 계약으로 총 350만 명분과 노바백스 백신 2,000만 명분 추가 계약해 2분기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계약 추가로 국내 공급되는 백신 물량은 총 7900만명 분에 달한다. 

정은경 본부장은 "화이자 백신 300만 명분을 추가 구매 계약하고, 당초 3분기였던 공급 시작시기를 1분기로 앞당겼다"면서 "그간 구매 계약 논의를 진행해 온 노바백스 백신 2천만 명분(4천만 회분)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체결로 화이자백신은 총 13000만명분이 확보됐다.

화이자백신은 3분기부터 도입 예정이었으나, 제약사와 조기 공급 협상 결과에 따라 1분기(3월 말) 내 50만 명분(100만 회분), 2분기에 300만 명분(600만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현재 화이자 백신은 식약처에서 허가 심사를 진행 중이며, 3월 말 도입되는 백신에 대한 국가 출하 승인이 완료되면 4월부터 예방접종을 시행할 예정이다. 

노바백스 백신 도입과 관련해서는 16일 오전 10시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가 백신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선구매 계약 물량은 2000만 명분(4000만 회분)이다. 구매 계약 체결한 노바백스 백신은 2분기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사진 왼쪽)과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대표가 노바백스 관계자들과 화상회의를 통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사진 왼쪽)과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대표가 노바백스 관계자들과 화상회의를 통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노바백스 백신은 기술이전 방식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첫 사례다. 

정부는 이번 계약으로 우리나라의 백신 개발 원천 기술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노바백스 백신은 합성항원 방식 생산된 백신으로 그동안 정부가 구매한 mRNAㆍ바이러스 전달체 방식과 다른 새로운 플랫폼이다. 

합성항원 백신은 항원 단백질을 합성하여 면역증강제와 섞어 인체에 투여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냉장(2~8℃) 조건으로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다.

정은경 청장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 공급의 불확실성이 많은 상황에서 국내 생산·공급이 가능한 노바백스 백신 및 화이자 백신 조기 도입을 통해 안정적 수급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조기 공급과 신속한 예방 접종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