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메디팜스투데이 DB.
사진=메디팜스투데이 DB.

정부가 의료 빅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를 국가 전략으로 전면 배치하며 공공기관 주도의 데이터 플랫폼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등 핵심 기관은 클라우드·AI 기반 개방 시스템을 중심으로 의료데이터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데이터 중심의 의료 혁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넘어 법·제도 변화와 맞물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HIRA, 차세대 플랫폼 구축 '첫 발'…클라우드·AI로 진화

심사평가원은 2015년부터 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을 운영하며 연구자, 산업계, 공공기관에 데이터를 제공해왔다. 다만 기존 시스템은 클라우드 확장성, AI 분석 기능 등 최신 기술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이노그리드가 단독 수주한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ISMP(정보시스템 종합계획) 컨설팅 사업’에 착수했으며, 이번 사업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조로 전환하고, 장기적으로 AI 기반 지능형 분석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업은 1단계(2025~2026년)에서 클라우드 전환 설계와 시범 운영을 진행하고, 2단계(2027년 이후)에는 전면 전환과 AI 분석 기능 상용화를 추진한다. 심사평가원은 “데이터 접근성과 분석 효율을 크게 높여 신약 경제성 평가, 희귀질환 정책연구, 급여 적정성 분석 등 공공·산업 전반에서 활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NHIS, AI 기반 건강예측으로 '예방 중심' 전환

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과 원격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며, 가명 정보 기반의 안전한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AI 건강예측 모델과 데이터 시각화 툴을 도입해 개인 맞춤형 예방·관리 서비스로 확장할 계획이다.

공단은 2024~2027년까지 연 250억 원 규모를 투입해 데이터센터와 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심뇌혈관질환 예측 알고리즘 개발, 지역별 건강격차 분석, 맞춤형 보험 정책 설계 등 고부가가치 연구에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복지부·KHIS, 표준화·연계로 정밀의료 인프라 확장
보건복지부는 의료데이터 표준화와 상호운용성 강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나의 건강기록 앱’ 연계 병원을 2025년 말까지 47곳 이상으로 확대하고, 77만 명 규모의 유전체·임상·생활습관 데이터를 구축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을 2024~2028년까지 약 3000억 원을 투입해 추진 중이다.

이 데이터는 맞춤형 암 치료 알고리즘 개발, 국가 신약개발 프로젝트 등 정밀의료 기반 연구에 활용되며,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과 데이터 안심구역 운영과도 맞물려 데이터 활용 범위를 넓힌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통해 병원 간 의료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하고 있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정 사업과 K-CURE 암 임상 데이터 표준화 사업을 통해 연구·진료 데이터의 품질과 활용도를 동시에 높인다. 연 150억 원 이상을 투자해 2030년까지 전국 의료기관의 80% 이상을 연결하는 것이 목표다.

이러한 의료 빅데이터 고도화는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 추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2024), 가명정보 활용 가이드라인 등 최근 법·제도 변화와 맞물려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 헬스 시장은 연평균 18.8% 성장해 2027년 508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역시 EMR 도입률 93.9%, 단일 건강보험 체계, ICT 인프라 구축 등 강점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