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여의도 총궐기대회 모습.(사잔=메디팜스투데이)
지난해 6월 여의도 총궐기대회 모습.(사잔=메디팜스투데이)

장기화된 의정갈등으로 시작된 의대생 및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은 결국 의대생 제적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일부 의대생들은 '자퇴'를 결의하며 맞대응하고 있어 갈등이 쉽게 봉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8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미복귀 의대생 40여명에 대한 제척 처분이 확정됐으며, 차의과대 32명, 인제대 9명이 제적된 것으로 전해진다. 

제적된 학생들은 이미 한달 이상 무단 결석으로 학칙에 따라 제적 예정 통보를 이미 받았으며, 처분 확정일인 지난 5월 7일까지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학칙에 따라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 가운데 순천향대 606명, 인제대 557명, 을지대 299명, 건양대 264명, 차의과대 190명은 대부분 수업에 복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사실상 의료계가 강조해 온 '단일대오'는 무너진 상황이다. 하지만 각 의과대학 학생회 대표들은 '자퇴'를 택하겠다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혼란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정부는 4월 30일을 기점으로 전국 40개 의과대학에 유급 대상자를 확정하라는 공문을 보냈으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확정된 유급이나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을 것이다.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는 집단 제적 사태가 벌어질 경우 의대협 차원에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는 의지를 다졌다.

의대협은 지난 7일 학생 대표 40명이 작성한 자퇴 원서를 공개했으며, 이어 성명서를 통해 "교육부는 제적이라는 말로 협박하고 있어 교육의 본질마저 왜곡됐다"며 "압박에 노출되어 기본권을 심각하게 침해당하고 있는 학생들 보호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의대생들은 대선을 앞두고 대선 주자들에게 일부 기대감을 표했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의대생 유급 및 제적 대상자가 확정되자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은 "의대생 복구 및 의료정상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의대생들 포섭보다는 장기화된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계에 향한 부정적인 민심'을 돌보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의료계 표심을 잡기위한 약속을 내놓기도 해 의료계 달래기도 함께 하는 모양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의료개혁을 원점 재검토할 것"이라며 "대통령 직속 미래의료위원회를 신설해 의대생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의대생들은 부디 돌아와달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2000명 의대 증원에 따른 정부 책임자 문책 및 합리적 수가체계를 마련 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의대생들에게는 "힘든 싸움은 맡기고 공부를 이어가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대에 7일까지 유급 및 제적 추분 현항 제출을 요청했으며, 3개교는 아직 제출하지 않았다. 오는 9일 현황을 파악해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