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을 동결하는 등 한발 물러섰음에도 불구하고 의대생과 대한의사협회가 전국의사궐기대회를 열고, 의료정상화를 요구했다.

의협은 필수의료 패키지 등 의료 개악 중단, 보건의료 정책 의협과 재설계, 의대생·전공의의 학습·수련권 회복과 책임자 사과, 의대 교육 요건 재조사 등을 주장했다.

하지만,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모두가 패자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고 피해자는 환자들이다.

정부의 후퇴로 의료계가 승리했음에도 굳이 궐기대회까지 열면서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 납득되지 않는다.

승리했다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면, 결국은 모두가 어려워질 수 있다.

승자의 아량이 필요한 때이다.

의·정 갈등의 큰 책임은 의대 증원을 무리하게 추진한 정부에 있지만, 지난 1년여 동안 어떤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

정부는 의료계의 요구에 일방적으로 끌려가서는 안 된다.

이번 의정 갈등을 보면서, 의료계는 버티면 이긴다는 것을 학습했을 것이다.

의대생들의 유급 시한이 도래하고 있다.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해야, 특혜를 주었다는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의료계는 무리한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정부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