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 시장에 2025년에도 임상 2상과 AI신약개발플랫폼 기업에 대한 VC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임상 데이터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비만 및 GLP-1 약물을 필두로 중기 및 휴기 임상 시험으로 진출하는 바이오제약 기업에 대한 VC 투자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최근 '2025년 글로벌 바이오파마 VC 투자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VC 투자를 결정할 때 견고한 임상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시장의 역학, 투자자 우선순위 및 규제 기대치의 광범위한 변화가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효능, 안전성 및 상업적 잠재력에 대한 명확성이 높아짐에 따라, 2025년에도 VC 투자가 2상 이상으로 진출하는 기업이 우선 투자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임상 시험 단계는 바이오제약 VC 투자의 규모와 빈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임상 2상을 진행한 회사는 지속적으로 가장 큰 거래 규모를 확보했지만, 예외적으로 2023년에는 비만치료제에 대한 거래로 인해 임상 1상의 총 거래 규모가 증가했다. 

또한 바이오텍 시장은 2022년~2023년 경기 침체기에 경제적 긴축에 직면했지만, 2상 투자는 회복력을 보여 2024년에 52억 달러로 회복됐다.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는 투자 위험을 줄이고 가치를 높이기 위해 증명된 데이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2상의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가 규제, 상업적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임에 따라 투자자 관심을 이끌어내는 핵심 변곡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한편  비만/GLP-1 약물과 AI 플랫폼은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예외로 부상하고 있다. 

릴리와 노보노디스크의 블록버스터 판매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새로운 치료제에 비해 모방하기 쉽고 임상적 복잡성이 낮은 GLP-1 약물 범주는 임상 데이터가 부족해도 벤처캐피털리스트에게 신뢰를 주기에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