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치료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질환별 분야에서 '당뇨'와 '비만'에 대한 증가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치료제를 지원하는 정부정책을 통해 시장은 더욱 강화되고 기술 혁신과 전략적 파트너십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산업진흥원의 발간한 최신 '글로벌보건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현 시점으로부터 2028년~2032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각 연도에 따라 연평균 성장률은 16%~31.5%까지 전망했다.
디지털치료제는 만성질환 및 장애를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앱을 사용하는 근거기반 치료제이다.
기존의 치료형태와 달리 개인별 대화형 건강 솔루션을 위해 모바일 앱, 소프트웨어,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한 디지털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고서는 주요 성장 요인으로 기술발전, 개인화, 효율성, 규제 및 이니셔티브를 꼽았다.
기술발전의 경우 AI나 빅데이터 등 기술의 혁신과 발전을 통한 새로운 제품은 디지털치료제의 시장성장을 촉진했으며, 실시간 모이터링, 데이터 수집 등 개인 맞춤형 기술 적용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를 실현해 만족도를 높임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했다.
또한 의료비 증가에 따른 비용의 효율적인 대안이 되고, 입원과 방문 필요성을 감소시키며 시간적으로도 효율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더불어 보고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디지털치료제에 대한 규제나 이니셔티브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투자가 촉진되면서 시장이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질환에 따라 당뇨병, 비만, 심혈관 질환,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질환, 위장장애, 호흡기 질환, 금연 등의 디지털치료제가 있으며, 각 질환은 예방, 치료, 기타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당뇨병은 유병률 증가와 치료비용 증가로 인해 2023년 기준 28.8%의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였으며, 비만 역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여전히 해결해야될 과제는 남아있다.
보고서는 "디지털 치료기기가 필수적이지 않은 상품으로 판단될 경우 변동하는 경제상황에 따라 소비가 줄어들 수 있고, 기존에 사용되던 약물 등의 치료제와는 다른 형태이기 때문에 품질, 안전성, 윤리적 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아직 디지털치료제에 대한 규정과 허가 요건 정립이 부족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품질이나 환자의 정보 보호의 문제가 남아있다"며 "새로운 기술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도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높은 투자비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