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레드바이오에 대한 기술개발과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국내에서 마이크로바이옴 등 새로운 모달리티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7일 '2021년 이슈 및 성과, 2022년 전망 및 과제'를 통해 "지난해는 코로나19 백산과 치료제로 레드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한 해였다"며 이 같이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CJ그룹이 제약산업으로 재진출을 선언했고 삼성, SK, LG 등 대기업의 레드바이오 분야 투자가 확대됐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백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기업이 백신 개발 투자에 박차를 가했다.

녹십자랩셀, 레고켐바이오, 알테오젠 등 바이오기업들은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분야에서 국내 위상은 더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협회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백신 인력양성,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 등 국내 레드바이오 산업생태계 조성에 시동을 건 해이기도 했다"며 "다만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에서 1년도 되지 않아 긴급사용 승인을 받음에 따라 자칫 신약개발이 2~3년 정도면 될 수 있다는 인식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레드바이오의 중요성과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미래 성장동력으로 레드바이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국가와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세포·유전자치료제, 항체약물접합체(ADC), 엑소좀, 마이크로바이옴 등으로 모달리티가 본격적으로 확장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CDMO 경쟁 구도와 국내 관련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검증할 수 있는 해가 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다만 국내는 엑소좀, 마이크로바이옴 등 신규 모달리티 관련 인허가 가이드라인 준비가 부족하고, 코로나19로 분산형임상, 원격의료, 디지털치료제 등에 대한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협회는 "감염병 R&D에 대한 리스크가 여전히 크게 존재하기 때문에, 팬데믹과 같이 실패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서는 성공불융자 등의 획기적인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성공불융자는 석유 시추 등 개발 위험도가 높은 사업을 하려는 기업 등에게 필요자금을 빌려주고 사업이 실패하면 융자금 전액을 감면해주고 성공시에는 원리금 이외에 특별부담금을 추가 징수하는 제도이다.

협회는 "국내 주요 기업들은 매출에서 상품 비중이 높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 매출 비중을 높일 수 있는 고민을 하고 있다"며 "메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임상 3상을 추진하는 기업이 많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