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렌비마 병용요법이 신세포암 및 자궁내막암 치료 적응증을 추가했다.

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는 MSD의 항PD-1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가 12월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에자이의 경구용 다중 키나아제 억제제 ‘렌비마(성분명 렌바티닙)’와의 병용요법으로 진행성 신세포암 1차 치료제 및 3상 임상시험 기반 진행성 자궁내막암 치료제로 적응증을 허가받았다고 밝혔다고 11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신세포암 치료에서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은 23.9개월의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을 기록했다.

이번 허가는 3상 임상인 CLEAR 연구(KEYNOTE-581/Study 307)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CLEAR 연구를 통해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은 기존 치료법인 수니티닙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기간(OS) 개선효과를 입증했다.

연구에 따르면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은 수니티닙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61%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망 위험은 34% 감소했다. 전체 생존기간은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의 객관적 반응률(ORR)은 71%, 수니티닙군은 36%를 기록했고 완전관해(CR)는 각각 16% vs. 4%, 부분관해(PR)는 각각 55%, 32%로 나타났다. 임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된 이상 반응은 설사와 고혈압이었다. 

2020년 5월 2상 임상(KEYNTOE-146/Study 111)을 기반으로 렌비마 병용요법으로 승인됐던 키트루다의 자궁내막암 적응증은 3상 임상인 ‘KEYNOTE-775/Study 309’ 기반으로 허가 받았다. KEYNOTE-775/Study 309는 이전의 전신요법 이후 질병 진행이 확인된 진행성 자궁내막암을 대상으로 50년 만에 성공한 3상 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키트루다의 국내 허가사항은 기존과 동일하게 이전의 전신요법 이후 진행이 확인되고 수술 및 방사선 치료가 부적합한,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하 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이하 dMMR)이 없는 진행성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렌비마와 병용요법이 사용된다.

연구 결과,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은 화학요법(독소루비신 또는 파클리탁셀) 대비 사망 위험을 32% 감소시키고,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은 40% 감소시켜 전체 생존기간과 무진행 생존기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확인했다.

또한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17.4개월, 화학요법은 12개월,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각각 6.6개월, 3.8개월로 나타났다.

데이터는 MSI-H 또는 dMMR이 없는 69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됐다. 중대한 약물이상반응(≥3%)은 키트루다와 렌비마를 병용 투여한 환자 50%에서 발생했으며, 고혈압(4.4%), 요로감염(3.2%)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