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 1차 관문을 넘긴 초고가 신약 ‘킴리아’에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그동안 급여화를 외쳤던 환자단체에서는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급여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향후 건보공단과의 약가협상과 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통과가 남은 만큼 업계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오늘(15일) 심사평가원과 건강보험공단의 국정감사가 진행됨에 관련 기관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는 킴리아주(티사젠렉류셀)에 대한 급여기준 설정을 결정했다.
킴리아는 올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으며 국내 환자들에게 소개됐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및 B세포 급성림프성백혈병에 쓰이는 약제로, 1회 투약만으로도 드라마틱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원 샷(one-shot) 치료제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문제는 1회 4억 6000만원에 달하는 약가로 인해 환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용효과성 문제로 인해 그간 암질환심의위원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에 백혈병환우회는 지난 1일 국가인권위원회에 킴리아의 건강보험 등재를 신속하게 하지 않았고, 생명과 직결된 ‘신약 건강보험 신속등제 제도’를 도입하지 않음으로 인해 인권침해와 차별행위를 당했다며 보건복지부장관에 대한 권고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또한 킴리아가 식약처에 허가가 되면서 급여를 요청한다는 내용의 국민청원이 수차례 등장하기도 했으며, 지난 7일 국정감사에서 화두에 오르며 급여화 필요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과 이종성 의원이 백혈병 환아의 보호자를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을 요청했고, 이들은 신속한 급여화를 강하게 요구했다.
이에 대해 권덕철 복지부 장관도 “치료제를 기다리다가 사망하게 되는 환자가 더 이상은 발생하지 않도록 위험분담제 등을 활용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13일 열린 암질환심의위원회에서 급여기준 설정 결정을 내리게 된 만큼, 15일 심평원·공단 국감과 20일 복지부 종합감사에서도 킴리아에 대한 질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자단체는 한국노바티스를 향해 “암질심 심의 결과를 수용해야 한다”면서 “위험분담제를 활용한 재정 분담 방안에 적극 협조한다면 6개월 내 킴리아의 건강보험 등재를 기대할 수 있다”고 압박하고 있다.
환우회는 지난 1일부터 한국노바티스 앞에서 킴리아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해 적극적인 재정분담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시위를 펼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