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이 2013년 첫 제정된 8년만에 새로운 내용을 담아 발표됐다.

새 가이드라인은 우리나라 실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최신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해 개정됐다.

대한간학회는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개정 위원회(위원장 조용균)은 13일 개최된 국제간학회에서 개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최신 연구 결과와 개정위원회 충분한 토의를 거쳐 개정된 새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국내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유병률은 30%이며 발생률은 인구 1000명당 연간 약 45명이었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1.6배, 제2형 당뇨병은 2.2배, 만성 콩팥병은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의 주요 개정 내용을 보면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질환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기술하고, 대사 이상과 간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도 진단이 가능하도록 했다. 

비(非)비만 인구에서의 지방간질환이 증가 추세라는 점과 선별검사가 필요한 고위험군 제시,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간암 감시 검사 필요성, 소아청소년기 지방간 유병률이 11.4%인 점을 감안해 과체중 및 비만인 소아청소년에서 간수치 혈액검사인 ALT로 선별검사를 권고하는 한편 추가적으로 복부초음파 검사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현재 개발중인 약물과 추후 가능성이 있는 약물을 제시해 치료 약물 선택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선별검사 고위험군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암 검사 필요 ▲생활습관 교정과 동반질환 치료 등을 담았다. 

조용균 대한간학회 개정위원장
조용균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위원장

조용균 개정위원장은 "심혈관 질환과 제2형 당뇨병 등을 포함해 새롭게 제시하고자 노력했다"면서 "한국형 알고리즘을 만들고 싶었지만 쉽지는 않지만 최선의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 가이드라인에는 없었던 간효소수치 상승이 있거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 선별검사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았다"면서 "선별검사는 복부초음파 검사를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위원장은 또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서 1차 치료제로 메트로포르민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았다"면서 "아쉽게도 연구 진행 중인 신약이 드롭되고 있다. 더 많은 약제들이 치료에 적극 사용될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