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방역당국이 감소세를 보이던 코로나바이러스 3차 유행이 다시 확산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방역 강화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19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최근 직장과 사업장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의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다"며 "설 연휴 이후 검사량이 증가하면서 환자가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생활 속에서 감염을 차단하고 예방하는 노력을 통해 지금의 확산 추이를 반전시켜야만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을 피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방역당국은 외국인 밀집지역과 외국인이 다수 고용된 사업장의 감염 발생 추이가 높아지자 적극적인 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손영래 반장은 "지난 7월부터 외국인 밀집시설 약 4,000개소, 인력사무소 900개소에 대한 방역수칙 안내와 현장점검을 시행했다"면서 "외국인 커뮤니티, 주한외국대사관 등을 통해 16개의 언어로 코로나19 관련 정보와 방역수칙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체류 외국인들의 경우 단속과 추방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증상을 숨기거나 또는 코로나 검사를 기피하게 되는 수가 있어 더 큰 집단감염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불법체류를 이유로 단속과 추방 등의 불이익을 주지는 않고 있다"고 적극적인 검사 참여를 당부했다. 

손 반장은 "제조·건설업 사업장에 대해서도 방역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 중 집단감염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장 1,000개소에 대해 2주간 집중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방역에 취약한 종교시설에 대해서도 방역관리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교회 등 종교시설을 통한 집단감염 사례가 다수 발생해 1월부터 각급 경찰서에 점검팀 1,011명을 구성해 방역에 취약한 종교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손영래 반장은 "지난 6월 남양주 한 교회에서는 2명의 코로나 환자가 발생해 약 1,000명이 접촉자로 분류됐지만 평소에 바닥 스티커 부착을 통한 거리두기, 3회에 걸친 분산예배 등의 방역수칙을 준수해 추가적인 환자가 1명도 없었던 사례가 있었다"며 종교시설의 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그는 "최근 병원, 사업장, 체육시설, 가족 모임, 학원 등 생활공간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봄에는 예방접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학교에 무사히 갈 수 있는 소중한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3차 유행의 재확산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역의 기본원칙에 따라 감염 위험성이 높은 밀집·밀접·밀폐된 환경을 개선해 주시고 마스크 착용, 주기적인 환기, 사람 간의 거리두기 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감염 위험을 낮춰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1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33명으로 다시 500명대로 진입했다.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8만 6,128명(해외유입 6,837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617명으로 총 7만 6,513명(88.84%)이 격리해제돼 현재 8,06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3명, 사망자는 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550명(치명률 1.80%)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