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보건산업진흥원 브리프)
(사진=보건산업진흥원 브리프)

최근 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장기 복용에 따른 부담, 부작용, 근손실 가능성 등 약물 치료의 한계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만 및 만성질환의 지속가능한 관리 전략으로 비만치료제와 비의료 중심의 병용 치료의 중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비의료 전기근육자극 운동은 짧은 시간 내 전신 근육을 동시에 자극해 근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전통적인 운동 수행이 어려운 대상자에게도 적용 가능해 비만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된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된다. 

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최신 브리프 '의료-비의료 융합 모델' 자료에 따르면 비만과 만성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 증가 및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세계비만연맹은 2035년까지 전 세계 성인의 54%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치료 전략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보고서는 "현재 시판 중인 비만치료제는 식욕 억제, 체중 감량, 혈당 조절, 지방세포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지방 감소와 함께 근육량 감소 등의 부작용과 장기적인 효과의 한계로 주기적인 약물 투여가 필요해 약물 의존 가능성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운동 수행이 어려운 비만 및 만성질환자, 근감소증 동반 환자에게 WB-EMS(non-medical WB-EMS)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단순 체중 감량이 아닌 근감소 방지 및 신진대사 향상 등 장기적인 건강 관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EMS 운동은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체류하는 우주인들의 근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저주파 전기 자극(미세전류)를 통해 근육을 직접 수축시켜 근육 강화가 가능하다. 

사용 목적에 따라 근육 강화 목적의 일반적인 EMS 기기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EMS 기기로 구분된다. 

WB-EMS 운동은 가슴, 복부, 등, 팔, 엉덩이, 허벅지 등 여러 군육군에 전기 자극을 동시에 전달해 균형있는 근육 발달을 유도하며, 특히 관절 문제나 기타 신체적 제한으로 인해 전통적인 운동 수행이 어려운 대상자들에게 적합한 방식이다. 

기존 전통적인 운동과 차별점은 전신 근육을 동시에 자극해 짧은 시간 내에 근육 활성화와 체지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관절 부담이 적어 신체 제약이 있는 대상자에게 적합하다. 

약물치료와 비의료 WB-EMS 운동 융합 전략

보고서는 "비만치료제와 WB-EMS 운동을 병용함으로써 체중 감량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근력 강화 등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융합적 접근이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면서 "다양한 원인이 얽힌 복합 질환일수록 약물 의존도를 높이기보다는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해 약물의 복용량을 줄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FDA에서 승인된 지방간 치료제 레즈디프라(Rezdiffra)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승인된 바 있다.

이어 보고서는 "의료와 비의료 서비스를 융합한 모델은 운동을 통해 약물 치료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며 "디지털 헬스케어, 홈트레이닝, 재활 분야 등과의 융합을 통해 이종 산업으로 확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전략적으로 초기 단계에 의료 WB-EMS 운동과 전문의약품을 통해 체중을 효과적으로 감량하고, 이후 정상 또는 과체중 상태 유지 단계에서는 비의료 WB-EMS 운동과 일반의약품을 활용한 건강 관리 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강 관리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제약바이오, 디지털 헬스케어, 운동 재활 등 각 산업 분야의 플레이어들이 새로운 시장 기회를 선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보고서는 "병용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장기 임상 연구가 부족하고, 의료와 비의료 요소를 적절히 결합한 통합 모델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융합 모델의 효과성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임상적, 산업적 차원의 체계적인 연구와 제도적 지원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