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 의약품이 전 세계적으로 질병 진단 및 치료 사용이 확대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표적 세포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입히는 치료로, 현재의 치료법에 민감하지 않은 난치성 질환 치료에 점점 더 관심이 집중된다. 

한국바이오협회가 발간한 이슈 브리핑 '글로벌 방사성의약품 허가 및 개발 동향'은 이 같이 밝혔다. 

방사성 의약품은 저분자, 펩타이드, 항체와 같은 의약품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붙인 의약품으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및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다층 촬영 스캔과 함께 전신 질환 병변을 빠르고 정밀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비침습적 방식으로 정확한 환자 계층화가 가능하다. 

또한 방사성 핵종에 의해 방출되는 고에너지가 표적 세포에 정밀하게 증착되어 단일 또는 이중 가닥 DNA 절단을 통해 세포 사멸을 직접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현재 67개의 방사성 의약품이 미국 FDA에서 승인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54개는 질병 진단용으로 13개는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병 진단에 사용되는 54개 승인된 방사성 의약품은 종양 영상용 25개(46.3%), 중추 신경계 영상용 11개(20.4%), 심혈관 영상용 8개(14.8%)이며, 이외에 신장 영상용, 폐 영상용, 간 영상용, 뼈 영상용 등 7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승인된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13개는 모두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외부 방사선원을 사용하는 방사선 요법과 달리 방사성 의약품 요법은 표적 세포 내 방사선을 제한하고, 비교적 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가 거의 없어 정상적인 장기 손상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 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소량의 표적 벡터는 세포 사멸을 달성사기에 충분한 방사선을 얻을 수 있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치료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병변에 약물이 축적된 것을 시각화하고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며 "임상의가 병변을 보면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맞춤형 치료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표적 세포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입하는 방사성 의약품 치료는 현재의 치료법에 민감하지 않은 난치성 질환 치료에 더 주목받고 있다.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승인된 방사성 의약품에 기초해 볼 때, 다양한 분야에서 표적 벡터를 사용해 방사성 핵종을 병변에 정확하게 전달한다"면서 "종양 진단 및 치료의 효율성과 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