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등 소위 기피과의 인력 부족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해당 과목 전문의의 평균 나이가 모두 50세를 넘긴 가운데, 지역에 따라 전문의 평균연령은 10살가량 차이가 벌어졌다.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외과 전문의는 6,716명, ▲신경외과 전문의는 3,160명,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의는 1,191명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당 각각 ▲0.13명, ▲0.06명, ▲0.02명에 불과하다.

해당 과목의 전문의 평균연령은 ▲외과 53.2세, ▲신경외과 50.8세, ▲심장혈관흉부외과 53.3세로 모두 50대를 넘겼다. 30세 미만의 전문의는 ▲외과 18명, ▲신경외과 3명, ▲심장혈관흉부외과 1명에 불과했다. 30대 이하로 범위를 넓혀도 ▲외과 13.8%, ▲신경외과 16.3%, ▲심장혈관흉부외과 12.9%로, 해당 과목의 60세 이상 전문의 비중인 ▲외과 30.9%, ▲신경외과 22.9%, ▲심장혈관흉부외과 32.5%를 크게 밑돌았다.

전문의 고령화는 지방일수록 심했다. 

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의 전문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각각 ▲경상북도(58.1세), ▲세종시(60.1세), ▲제주도(58.1세)였다. 반대로 가장 평균연령이 낮은 지역은 세 개 과목 모두 서울시였는데, 적게는 8.4세, 많게는 11.4세로 10살 가량 차이가 발생했다.

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전문의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와 일부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이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세종시의 경우, 인구 1,000명당 ▲외과 전문의는 0.06명, ▲신경외과 전문의 0.03명,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의 0.01명으로 가장 전문의 수가 부족했다.

박희승 의원은 “외과‧흉부외과‧신경외과 등 외과 전문의 중 30대 전문의 비중이 60대 이상 전문의 비중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향후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확대를 감안할 때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지방의 필수 의료인력 부족, 고령화가 심각한 만큼 공공의대, 지역의사제 도입 등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