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음성유방암(TNBC)은 다른 유형의 유방암보다 예후가 나쁘고 치료 옵션이 적어, 미충족 욕구가 높은 분야로 많은 바이오파마가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 경주하고 있다.

현재, TNBC 치료에 마케팅되고 있는 약품은 6개에 불과하고, 다른 유형의 침습성 유방암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확산되는 경향이 있어 전통적으로 가장 치료가 어려운 유방암 유형으로 간주된다.

예후가 나쁘고 치료 옵션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TNBC 환자의 치료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 전이성 질환에 대해 화학면역요법을 고려할 때 PD-L1(programmed death ligand 1)에 대한 삼중 음성 종양 테스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했다.

결과적으로, TNBC의 치료를 위해 마케팅되고, 파이프라인 약물의 대부분이 PD-1/L1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 및 분석 업체인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2상에서 3상으로 진행되는 TNBC 약물은 HER2-(38%) 및 HER2+(55%) 유방암보다 매우 적은 비율인 7%에 불과하다.

반면,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높은 수요를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TNBC에 대한 전임상 개발에 350개의 후보 약품이 있다.

머크(MSD)의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키트루다(Keytruda, pemrolizumab)는 PD-1에 대항하는 단일 클론 항체(mAb)이다.

이 약품은 신보조요법으로 화학요법과 복합으로 고위험, 초기 단계 TNBC에 대해 2021년 7월 승인됐다.

로슈의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은 항PD-L1 mAb인 다른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암 성장을 막기 위해 면역 체계의 능력을 높인다.

출시 몇 년 후인 2021년 6월, 로슈는 유럽에서 초기 또는 국소 진행성 TNBC 환자의 치료에 티쎈트릭의 라벨 확대 신청을 철회했다.

이는 TNBC 시장에 신약을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로, 확증 임상에서 치료에 대한 임상적 이점을 보여주지 못한 후에 나왔다.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는 2022년 8월 절제 불가능하거나 전이성 HER2-저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FDA에서 승인을 받았다.

HER2-저 유방암은 세포 표면에 일부 HER2 단백질이 있지만 HER2+로 분류되기에는 충분하지 않는, 새로 정의된 HER2- 유방암의 부분집합이다.

승인은 HER2-저 유방암 환자의 무진행 생존과 전체 생존 모두에서 개선을 보인, DESTINY-Breast04 임상 데이터를 근거로 했다.

엔허투는 낮은 수준에서 HER2를 발현하는 TNBC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TNBC의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키트루다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진 한 파이프라인 약물은 상하이 준시 바이오메디컬 테크놀로지의 투오이(Tuoyi, (toripalimab)이다.

이 약품은 PD-1을 표적으로 하는 IgG4K mAb이다.

TORCHLIGHT 임상시험은 새로 전이된 TNBC 환자에 대해 nab-paclitaxel과 복합으로, 위약에 대해 토리팔리맙을 무작위로 받은 3상 연구이다.

초기 데이터에서 토리팔리맙이 전체 생존율 개선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가 토리팔리맙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는 경쟁적인 PD-1 억제제가 전이성 TNBC 세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임핀지(Imfinzi, durvalumab)는 PD-L1 차단 항체로 다른 파이프라인 약물이고, 현재 TNBC에 파클리탁셀 화학 요법과 병용을 조사하기 위해 2상 연구에 있다.

지난 6월, 이 연구 결과에서 대식세포와 호중구를 나타내는 면역세포 유형에 대한 점수는 치료 동안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B세포, T세포, Th1세포에 대한 점수는 치료 그룹에 관계없이 감소했다.

이것은 임핀지가 종양에서 면역 체계의 반응을 높이는데 크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TNBC 치료에 새로운 치료제의 필요성이 상당한 것은 분명해 보이지만, 치료제와 높은 침습적 특성으로 TNBC의 낮은 반응 때문에, 임상적 이익이 있는 약물의 발견은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NBC가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공격적인 암으로부터 생존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와 임상 진전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