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업체들의 투자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20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공개한 '글로벌 주요 바이오의약품 CDMO 최근 동향'에 따르면, IQVIA 기준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2020년 기준 1조 2652억 달러로, 이중 바이오의약품은 3400억 달러를 기록해 전체의 26.8%를 차지했다.

특히 2026년에는 바이오의약품이 6220억 달러로 전체 의약품 1조 7500억 달러의 35.5%를 차지해 급격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Frost&Sullivan 자료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CDMO 서비스는 연구개발, 임상시험, 제품생산 서비스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2020년 113억 달러에서 2026년 203억 달러로 연평균 10.1%의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2020년 기준 100개 이상의 바이오의약품 CDMO가 있으며, 론자(Lonza),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 캐털란트(Catalent),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써모피셔(Thermo Fisher) 등 상위 5개사가 전체 시장의 59.4%를 점유하고 있다.

이밖에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와 일본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바이오테크놀로직스(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등이 경쟁력을 갖추고 부상하고 있다.

자료=한국바이오협회.
자료=한국바이오협회.

해외 주요 바이오의약품 CDMO 최근 동향

지난해 주요 글로벌 CDMO 업체들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등에 대한 투자를 앞다퉈 발표한 바 있다.

스위스의 론자는 스위스 비스프(Visp와 뉴햄프셔의 포츠마우스(Portsmouth)에 2개의 포유류 약물 물질 제조 시설을 추가하기 위해 약 9억 35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비스프에서의 확장은 새로운 2만 7500㎡의 대규모 포유동물 약품 제조 시설을 추가하는 것이며, 싱가포르에 있는 기존 대규모 바이오제조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완할 예정이다. 또한 이 시설에서 미생물 개발능력을 확장하기 위한 투자도 밝혔다.

포츠마우스에는 임상 3상 및 상업용 중소 규모 제품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8개의 2000L 일회용 생물 반응기에 대한 용량을 추가할 계획이며 캘리포니아에 있는 기존 일회용 네트워크를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싱가포르 투아스(Tuas) 부지에 세포배양, 정제, 분석서비스 용량을 추가해 포유류 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뉴저지의 캐털란트는 이탈리아 아나니(Anagni)에 1억 달러의 투자를 통해 생물학적 제제 약물제조 시설을 추가할 계획으로 후반단계에서는 2000L에서 8000L 배치 생산 규모를 가능하게 하는 1만 6000L의 총 제조 용량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위스콘신 주 매디슨에 있는 생물학적 약물-물질 개발 및 제조 시설에서 2개의 새로운 제품군 확장을 완료해 제조 세트 수가 5개로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cGMP 규모 용량의 2배에 달한다.

이와 함께 지난해 5월 독일 랑엔펠트(Langenfeld)에 소재한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 개발 및 제조업체인 라인셀 테라퓨틱스(RheinCell Therapeutics)를 인수해 세포 및 유전자 치료사업을 확장했으며 벨기에 고슬리(Gosselies)에 있는 3만 2400제곱피트 시설을 포함해 프로메세라 바이오사이언스(Promethera Biosciences)의 세포치료제 제조 자회사 HCTS를 인수한 바 있다.

10월에는 메릴랜드주 하먼스(Harmans)에 있는 유전자 치료 캠퍼스에 상업 규모의 바이러스 벡터 제조 제품군 3개와 관련 지원 시설 및 서비스를 추가하는 2억 3000만 달러의 확장 프로젝트 발표했다.

미국 메사추세츠의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은 지난 2017년 CMO기업인 캐나다 파세온(Patheon)을 인수했다. 지난해 캘리포니아 칼즈배드에 새로운 플라스미드 DNA(pDNA) 제조 시설을 오픈해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는 pDNA 임상 및 상업적 역량을 확장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UCSF)와 세포치료제 제조 및 협업센터를 개설해 관련기술개발 지원과 임상 및 상업적 cGMP 제조 서비스를 UCSF 및 기타 파트너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매사추세츠주 플레인빌에 있는 새로운 상업 제조현장은 1억 8000만 달러 프로젝트로 유전자 치료 및 백신에 대한 회사의 상업 바이러스 벡터 용량을 두 배 이상 확장했다. 호주 멜버른에 기반을 둔 바이오·제약 회사인 CSL Limited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조를 지원할 예정이며 추가로 바이오사업을 포함하도록 부지사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독일 베링거인겔하임의 바이오의약품 CDMO 전담 자회사는 바이오엑셀런스(BioXcellence)이다. 지난해 10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7억 유로 규모에 달하는 최첨단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인 LSCC(Large Scale Cell Culture)를 신설했다.

총 18만 5000리터의 발효기가 설치돼 포유동물의 대규모 용량이 30% 추가됐으며 단일 클론 항체, 효소, 사이토카인 및 기타 재조합 단백질과 같은 다양한 분자 형식을 생산 가능하다.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는 2015년 우시앱텍(Wuxi Apptec)의 CDMO 사업이 분할해 설립됐다. 중국 WuXi에 소재한 약물 물질 시설(MFG)의 새로운 2만 4000L 라인에서 첫 번째 GMP 생산을 완료했으며 이 시설은 단일클론항체, 이중특이체, 융합단백질과 같은 여러 방식에 걸쳐 후기 단계 및 상업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6만L의 바이오 제조용량을 보유하는 등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약 15만 L의 총 바이오 제조 용량을 제공한다.

또한 지난해 바이엘의 원료의약품 생산공장, 화이자의 항저우 생산공장, 중국 CDMO기업인 CMAB 바이오파마를 인수해 회사의 생산능력을 높였다.

일본의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바이오테크놀로지는 후지필름이 2011년 미국 다이오신스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인수해 탄생했다. 이 회사는 오해 텍사스주에 있는 1회용 제조시설을 3억 달러 증설해 미국 내 첨단치료법과 백신 제조 능력을 두 배로 늘릴 계획으 발표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에 소재한 바이오제약회사인 아타라 바이오테라퓨틱스(Atara Biotherapeutics)로부터 세포 치료제 제조 시설을 1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공정개발 실험실과 초기단계 유전자치료를 위한 제조능력을 갖춘 영국 달링톤(Darlington)에서 바이러스 벡터와 유전자치료 제품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바이러스 유전자치료시설과 포유류 세포배양시설을 추가해 영국 티스사이드(Teesside)의 빌링햄(Billingham)에 부지를 확장하기 위해 5억 33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지난해 12월 발표했다.

지난해 10월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홀리 스프링스(Holly Springs)에 20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대규모 세포 배양 제조시설을 착공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