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이 48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에 성공하며 미국 시장진출 초읽기에 들어갔다.

대웅제약은 미국 뉴로가스트릭스(Neurogastrx)사와 펙수프라잔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계약에 따라 뉴로가스트릭스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펙수프라잔의 임상·개발 및 허가를 담당하며, 대웅제약은 계약시점 뉴로가스트릭스 지분의 5% 및 이후 IPO시점까지 총 13.5%의 지분을 받게 된다.

또한 총 4억 3000만 달러의 기술료, 펙수프라잔 미국 판매액에 따라 최대 두 자리 수 퍼센트의 런닝 로열티를 받게 됐으며, 향후 국내에서 제조한 완제품 수출을 통한 수익도 올릴 예정이다.

뉴로가스트릭스는 본 계약 이후 펙수프라잔 임상개발을 최우선 순위로 추진하고, 임상 개발과 동시에 기업공개(IPO)를 준비할 예정이다.

앞서 같은 방식으로 다케다의 P-CAB제제인 보노프라잔(Vonoprazan)을 도입한 미국 팬텀사는 2018년 설립하자마자 2019년 나스닥 IPO에 성공해 현재 시가총액이 약 1조원 규모에 달하며, 현재 보노프라잔의 미국 임상 3상을 진행 중에 있다.

대웅제약과 뉴로가스트릭스는 내년 임상 3상에 돌입해 신속하게 FDA에 품목허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펙수프라잔은 중국, 중남미, 미국까지 단일품목으로 총 1조 원이 넘는 수출 기술이전 계약을 달성하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이후 다른 지역에서의 계약도 조만간 마무리 예정에 있어 명실공히 한국발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육성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국과 중남미에서도 현지 최고 제약회사들에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기술수출을 성공한 검증된 신약으로 이제 미국 진출도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펙수프라잔은 조만간 국내 품목허가도 앞두고 있다.

한편 전 세계 항궤양제 시장은 약 20조 원 규모로, 이 중 북미 시장이 약 4조 2000억원 규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중국 시장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