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본격 운영되는 250여개 예방접종센터에 근무할 의료진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정부가 민관협력을 통해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도입 시기와 물량을 고려해 중앙-권역-지역 예방접종센터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면서 부족한 의료인력을 순차적으로 충원해 나가겠다는 목표다.
복지부는 17일 예방접종센터 의료진 부족과 관련해 설명자료를 내고 2월부터 중앙 1개소, 권역 3개소에 예방접종센터를 운영하고 이어 3월 중으로 지역별 예방접종센터 18개소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3월 이후 233개소에 달하는 지역 예방접종센터는 의료인력과 백신 공급 현황을 파악해 순차적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복지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전국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점을 고려해 국비 지원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인력을 우선 충원하고, 중앙ㆍ시도ㆍ시군구 민관협력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라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의사회·간호협회 등과 의정협의체를 구성해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앙은 의정공동위원회를 구성해 관계부처(국방부, 복지부, 소방청), 보건의료계(의협, 병협, 간협)와 인력지원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에는 중앙·권역센터와 요양시설 등 방문접종이 2월에, 18개 지역센터 운영이 3월 중에 진행된다.
복지부는 "중앙·권역센터는 자체 인력 활용 및 인력 지원 등 인력 수급 중에 있고, 18개 지역센터는 지자체별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는 250여개 접종센터 근무 의료 인력을 6000명(의사 2000명, 간호사 4000명)으로 추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