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구용 당뇨병치료제 시장은 시장 확대 속에서 후순위 품목의 약진으로 선두품목과 격차가 좁혀지고 순위가 변동하는 등 판도 변화가 이루어졌다.

메디팜스투데이가 유비스트 자료를 토대로 2020년 경구용 당뇨병치료제 처방실적을 살펴본 결과, 전체 시장규모는 76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973억원보다 9.1% 증가했다.

DPP-4 억제제 시장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5915억원으로 6000억원 돌파를 눈 앞에 뒀고, SGLT-2 억제제 시장은 1214억원으로 29.1% 증가, 여전히 가파르게 상승하며 1000억원을 돌파했다. TZD 시장은 4.0% 증가한 476억원으로 동반 성장했다.

DPP-4 억제제, 국내사 고성장세…복합제 성장 뚜렷

MSD의 자누비아 품목군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1762억원을 달성해 1위 자리를 지켰다. 단일제인 자누비아는 4704억원으로 1.2%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복합제인 자누메트가 4.7% 증가한 7929억원, 자누메트엑스알이 8.4% 증가한 4985억원을 기록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트라젠타 패밀리는 3.6% 증가한 1289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단일제인 트라젠타는 0.5% 감소했으나, 복합제인 트라젠타듀오가 7.7% 증가해 평균 증가율을 끌어올렸다.

LG화학의 제미글로, 한독의 테넬리아, 동아에스티의 슈가논 품목군은 두 자리수 성장률로 선두 약물과의 격차를 좁혔다. 특히 슈가논 품목군은 지난해 가파른 성장으로 다케다제약의 네시나 품목군을 제치고 한단계 올라섰다.

제미글로 품목군은 전년 1008억원에서 1163억원으로 15.4% 증가해 트라젠타 품목군과의 격차를 100억원대로 좁혔다. 여기에 복합제인 제미메트의 경우 7986억원을 처방실적을 올려 7929억원을 기록한 자누메트를 제치고 단일품목으로 1위에 올라 겹경사를 맞았다.

테넬리아 품목군은 전년 373억원에서 425억원으로 13.9% 증가했으며, 슈가논 품목군은 162억원에서 245억원으로 51.9%나 증가해 네시나 품목군을 앞질렀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온글리자 품목군은 3.1% 증가한 276억원을 기록했는데, 슈가논과의 차이는 30억원에 불과하다.

반면 노바티스의 가브스 품목군은 전년 463억원에서 445억원으로 3.8% 감소했다. 다케다제약의 네시나 품목군도 단일제와 복합제 모두 역성장해 전년 대비 11.8% 감소한 207억원으로 부진했다.

슈가논과 함께 승승장구하던 JW중외제약의 가드렛 품목군은 NDMA 검출로 인해 성장에 발목을 잡힌 경우다. 단일제인 가드렛은 전년 대비 38.8% 증가했으나 복합제인 가드메트는 판매중지로 인해 반토막나며 평균 -26.7%인 103억원에 그쳤다.

SGLT-2 억제제, 고성장 지속 1214억원 기록…TZD, 듀비에 선전

SGLT-2 억제제 시장은 전년 대비 29.1% 증가한 1214억원을 기록,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포시가 품목군은 전년 대비 22.0% 증가한 648억원으로 선두를 지켰다. 특히 복합제인 직듀오는 38.8%의 증가율로 평균 성장률을 높였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 품목군은 511억원으로 전년 대비 39.9%의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포시가와의 격차를 좁혔다. 단일제인 자디앙이 20.8% 증가한 354억원, 자디앙듀오가 116.8% 증가한 158억원을 기록해 복합제 대세를 반영했다.

아스텔라스제약의 슈글렛은 13.2% 증가한 33억원, MSD의 스테글라트로는 47.7% 증가한 23억원을 달성하며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SGLT-2 약물은 최근 포시가가 심부전 치료 적응증을 추가하며 계열효과를 나타내 시장확대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TZD 시장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476억원으로 나타난 가운데 종근당의 선전이 돋보였다.

다케다제약의 액토스 품목군은 단일제인 액토스가 전년대비 2.3% 증가한 207억원을 달성했으나, 복합제인 액토스메트와 액토스릴은 각각 -6.7%, -22.8% 감소해 평균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반면 종근당은 단일제인 듀비에가 6.9% 증가한 212억원으로 경쟁약물인 액토스를 제쳤고, 복합제인 듀비메트가 24.1% 증가한 18억원을 달성해 두 품목 모두 선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