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가 본격화됐지만 수도권과 지방, 필수과와 인기과 간 격차는 오히려 더 벌어지고 있다.
서울 대형병원은 충원율이 70%를 넘는 반면 비수도권은 절반 수준에 머물렀고 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 등 필수과목은 여전히 공백 상태로 “지역의사제·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로 인력 확보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은 2일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전공의 복귀가 시작됐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 필수과목과 인기과목 간 양극화가 뚜렷하다”며 “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료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서울 빅5 병원은 충원율이 70%를 넘는 반면, 비수도권은 50~60% 수준에 불과했고, 필수의료과의 경우 사실상 ‘복귀’라고 하기 어려운 곳도 있다”며 “수도권 내에서도 응급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은 전체 평균보다 낮아 의료공백 우려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공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수련병원 충원율은 63%, 비수도권은 53.5%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필수의료과목 충원율이 70.1%에 그친 반면, 인기과목은 88.4%를 기록해 격차가 뚜렷했다.
필수의료과는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이 해당한다.
전 의원은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에서 공공의료 최전선을 지키는 공중보건의 충원율이 23%에 불과해 지역의료 위기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전 의원은 이번 상황의 원인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일방적인 의대정원 2천명 증원 발표로 촉발된 의·정 갈등”을 꼽았다.
그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정부와 환자·소비자단체·의료계 간 대화로 신뢰 회복이 이루어지며 전공의 복귀가 시작됐지만, 지역과 과목 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지역의사제 도입, 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을 통해 지역·필수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공보의 복무기간 단축 등 지역의료 살리기를 위한 종합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