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학회가 전공의 수련 재개 결정을 두고 '의료 정상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학회는 정부와 의료계가 어렵게 마련된 신뢰를 바탕으로 군입대 전공의 복귀 지원과 제도 정비 등 후속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단순한 인력 복원을 넘어 미래 전문의 양성과 의료제도 개선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의학회는 지난 7일 열린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하반기 전공의 수련 재개 결정에 대해 크게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의학회는 “이번 전공의의 수련 재개는 단순한 인력 복원이 아니라, 수련을 체계적으로 정상화하고 우수한 전문의를 양성하는 새로운 출발의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전공의 수련은 개인의 경력을 넘어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 경쟁력과 국민 의료 수준을 높이는 국가적 대업”이라고 덧붙였다.
의학회는 특히 그동안 누적된 정부와 의료계 간 불신을 해소하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지적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며 “상호 존중과 투명한 소통, 약속 이행을 통해 점진적으로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필수의료 지원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등 핵심 정책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 마련을 촉구했다.
또한 군 복무를 위해 수련을 중단한 전공의들이 전역 후 기존 수련 과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이는 개인의 권리 보장뿐 아니라 국가 의료 인력 손실 최소화와 미래 의료 역량 보존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수련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점도 언급했다. 학회는 “소를 잃고 나서도 외양간을 고치지 않고 사태를 반복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며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제도 정비와 과학적·합리적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대한의학회는 앞으로 전공의 수련의 질 향상과 역량 중심 교육체계 마련에 힘쓰겠다고 다짐했다. “보다 나은 수련 환경을 조성해 미래 의료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며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의료제도 정착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