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국내 최초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STOBOCLO)'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계기로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전환에 나섰다. 약가와 투여 편의성을 동시에 개선한 스토보클로는 발매 3개월 만에 5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게임체인저로 부상했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3일 스토보클로 론칭을 기념해 전국 8개 도시에서 개최한 '퍼펙트(PERFECT)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섰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서울을 시작으로 수원, 대구, 경주, 부산, 전북, 광주, 제주에서 총 11회에 걸쳐 열렸으며, 720여 명의 의료진이 참석했다.
퍼펙트(PERFECT)는 ▲Providing ▲Economical ▲Reliable ▲First-in-class ▲Effective ▲Cure for ▲Treating Osteoporosis의 약자로
스토보클로가 추구하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비전을 담고 있다.
스토보클로는 대웅제약이 국내 최초로 발매한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로, 글로벌 3상 임상을 통해 오리지널과의 유효성과 안전성 동등성을 입증했다. 미국, 호주, 유럽 등 주요국에서 허가를 획득했으며 론칭을 앞두고 있다.
특히 스토보클로는 넓은 손가락 받침대와 자동 주사침 잠금 기능이 적용된 디바이스로 투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으며, 라텍스 프리(Latex-free) 재질을 사용해 알레르기 우려도 해소했다. 생산 전 과정을 국내에서 진행해 공급 안정성도 확보했다.
약가는 오리지널 대비 약 13% 저렴한 연 20만 원 수준이며 보험급여 적용 시 환자 부담금은 월 5400원에 불과하다. 이는 "한 달 커피 한 잔 값으로 골절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국내 골다공증 유병률은 높은 편이나 치료율은 여전히 낮다. 50세 이상 여성의 26%가 골다공증을 앓고 있으며, 70세 이상 여성의 2명 중 1명 이상이 해당된다. 하지만 골절을 경험한 이후 약물 치료를 받는 비율은 여성 46.9%, 남성 18.7%에 그친다. 자각 증상이 없는 질환 특성상 50세 이상이라면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가 권장된다.
심포지엄 좌장을 맡은 백기현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전 세계 최초로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한 것은 큰 의미"라며 "국내 생산 기반의 신뢰성과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홍승재 경희의대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을 경제적인 가격으로 처방할 수 있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우선 치료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경민 연세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경제적 접근성을 확보한 스토보클로가 골다공증 치료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토보클로는 셀트리온제약과의 공동 판매를 통해 전국 유통망 및 병의원 채널에 빠르게 안착 중이다.
셀트리온제약 유영호 대표는 "전략적 협업을 통해 골절 치료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대웅제약 이창재 대표는 "골절은 삶의 질 저하와 사망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나, 커피 한 잔 값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다"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