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신뢰 회복을 위해 의료계와 소통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의사협회는 4일 오후 ‘새 대통령에게 바랍니다’는 기자회견 열고 “지금 우리나라는 전례 없는 의료 위기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는 비단 의료계에만 국한되지 않은, 국민 건강과 국가 안보에 직결된 중대한 사안인 만큼 의료계와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달라”고 요청했다.
김택우 회장은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 문제는 조속히 해결되어야 할 중대한 문제”라며 “이들이 교육현장과 수련병원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군복무 중이거나 군복무 대기 중인 전공의들의 문제는 더욱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국가의 부름에 응한 청년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고 의료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어야 하고, 복귀할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의사협회는 부실한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의견을 냈다.
김 회장은 “단순히 의사 인력만 증원한다고 미래 의료가 개선되지 않는다”면서 “내실 있는 교육과 실질적인 수련은 세계 최고 수준인 K-의료의 미래를 지키는데 필수적이며, 그리고 의사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환자를 돌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였던 공공의료 확충에 대해서는 “공공의대 신설은 최소 10년 후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일축하며 “공공의료가 공약을 넘어 정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의견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의협은 의료정책에 전문가단체와 충분한 논의를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김 회장은 “의료정책은 탁상공론이 아닌, 의료현장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들의 경험과 지식을 반영하여 수립하고 시행되어야 한다”며 “상호 존중과 소통의 자세로 국민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는 의료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고민을 정부와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공약 중 하나인 ‘국민참여형 의료개혁 공론화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도 “중요한 것은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떤 분들이 참여할지 먼저 논의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김 회장은 “정책을 만들 때 다양한 의견을 모우는 것은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본다”며 “다만 수요자의 의견만이 반영된 것이 아닌 전문가들이 중심을 잡는 과정을 거친다면 좋은 제도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모두 함께 잘 사는 나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 정당한 권리가 보장받는 나라를 꼭 만들어 달라”고 호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