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시장은 향후 5년간 폭발적 성장이 예상된다.
데이터 및 분석 회사인 글로벌데이터의 최신 보고서를 보면, 글로벌 CGT 시장은 2024년 87.7억 달러에서 2030년 760.3억 달러로 연평균 44% 고성장할 전망이다.
CGT 치료는 다양한 질병 치료에 혁명을 일으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암, 유전 질환, 심혈관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자가 면역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2021년 이후, CGT 시장은 환자의 삶을 개선하고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신약 승인, 혁신적인 치료법 등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CGT는 새로운 질병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보다 첨단 치료 접근을 채택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5개의 CGT가 연간 5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기존 제품과 후기 파이프라인 치료제에 힘입어 2030년까지 30개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다논병(Danon disease) 치료제,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DEB), 듀센 근이영양증, 겸상 적혈구 질환 등 일부 희귀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들은 블록버스터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시가총액 기준 15개 바이오파마 기업 중 13개 기업이 CGT 개발과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컨설팅업체인 투워즈 헬스케어(Towards Healthcare)의 보고서를 보면, CGT 치료제에 대한 투자는 2024년 152억 달러로 연간 30% 급증했다.
종양은 전임상 등 모든 개발 단계에서 가장 활발한 치료 분야이다.
CGT 분야에서는 2021년 종양에만 1300개 이상 후보약물이 개발되고 있다고 보고됐다.
소화기 질환 주목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소화기 질환에 대한 CGT 시장은 2023년 4700만 달러에서 2030년 1억 8700만 달러로 급증이 예상돼, 이 질환 분야의 상당한 발전이 예측된다.
시장의 성장은 GSK, 아스트라제네카(AZ), 알닐람 파마슈티컬스, 상하이 헥사엘 바이오테크, 파미셀 등 바이오파마 기업들이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약물의 예정된 출시가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소화기내과 시장은 2개의 CGT만 마케팅되고 있다.
성인 환자의 치루 치료에 적응증을 가진, 안테로겐의 큐피스템(Cupistem)은 2012년 일본에서 위장관 시장에서 승인을 받은 첫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자산이다.
이어 다케다제약의 알로피셀(Alofisel, darvadstrocel)이 2018년 유럽 의약품청(EMA), 2021년 일본에서 청신호를 받았다.
2024년 12월 13일, EMA는 크론병 관련 누공에 이익을 입증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알로피셀을 EU 시장에서 철수시켰다.
알로피셀의 유럽 시장 철수는 CGT 분야에 차질을 빚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한 기회가 남아 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다양한 소화기 질환에 대해 238개의 CGT 자산이 다양한 개발 단계에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다유전자성 특성으로 인해 모든 소화기 질환은 아니더라도, 많은 질환에 걸쳐 특정 표적 유전자의 부족은 하나의 과제이다.
바이오파마 기업들은 극적으로 CGT 치료에 명확하게 적합한 환자 하위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분자 분류를 기반으로, 환자 분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사 기능 장애 관련 지방간염/대사 기능 장애 관련 지방간 질환(MASH/MDSLD)은 80개의 자산으로 개발 중인 가장 많은 CGT를 차지하고 있고, 그 중 44개는 안티센스 RNAi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이고, 15개의 세포 치료제, 14개의 유전자 치료제, 7개의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 등이 뒤를 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900개 이상의 기업이 CGT에 전념하고 1000건 이상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에 있어, 업계는 상당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매년 10~20개의 새로운 첨단 치료제가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세대 CGT는 특히 희귀 및 초희귀 질환에 대해, 다른 치료 옵션이 거의 없는 환자에게 잠재적인 치유를 제공함으로써,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고 있다.
이런 치료제의 주요 초점 분야는 암, 근골격계 질환, 안과 질환으로, 이미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제품이 승인 및 출시되었고 임상시험의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런 치료제는 CAR-T와 TCR-T 치료, 줄기세포,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유전자 편집 기술), 바이러스 감염 방법 등 다양한 혁신적인 과학적 발전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