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충족 욕구가 높은, 파킨슨병에 대한 글로벌 임상시험의 비율은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이 선두에 있고, 북미와 유럽이 뒤를 잇고 있다,

CRO(임상연구회사)인 노보텍의 최신 보고서(Parkinson’s Disease- Global Clinical Trial Landscape 2024)를 보면, APAC 지역은 글로벌 파킨슨병 임상시험의 44%로 선두를 자지했다.

APAC 지역에서는 중국이 56%로, 2019년 이후 파킨슨병 임상시험의 대다수를 점유했다.

북미가 파킨슨병에 대한 전 세계 임상시험의 26%로 뒤를 이었다.

북미에서는 미국이 82%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캐나다가 17%, 멕시코가 1%였다.

유럽은 25%의 파킨슨병 임상시험 점유율을 보였다.

이 지역에서 영국이 14%로 선두를 올랐고, 러시아와 스페인이 각각 10%로 뒤를 이었다.

이스라엘, 이란 등 나머지 지역은 5%를 차지했다.

2019년 이후, 파킨슨병 임상시험은 등록 지표에서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평균 임상시험 기간은 미국이 15.63개월로 가장 길었고 유럽이 13.28개월로 가장 짧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은 모집 기간과 환자 모집률이 더 빨라, 높은 모집 효율성을 보였다.

유럽은 월간 사이트당 피험자 수가 1.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더 많은 환자 인구와 경험이 많은 임상시험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다국가 임상시험 때문이다.

효율적인 연구 인프라, 미국보다 적은 수의 경쟁 임상시험, 가장 높은 질병 발생률이 미국과 APAC 지역에 비해 더 빠르고 일관된 모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서가 언급했다.

APAC에서 파킨슨병 임상시험은 밀도는 미국보다 5배 낮고 유럽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이는 APAC 지역에서 연구 노력을 확대하고 보다 표적화된 의료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보고서는 광범위한 환자 인구가 있는 중국, 일본, 호주를 APAC 지역에서 파킨슨병 임상시험에 주요 기회를 제공하는 국가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임상 단계 145개, 1상 임상시험 52개, 2상 연구 70개, 3상 임상 7개 등 약물 후보들이 연구되고 있다.

연구 성공과 실패

데이터 및 분석 회사인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7대 주요 제약 시장(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에서 6개의 도파민 작용제가 마케팅되고 있고, 그 중 일부는 제네릭을 이용할 수 있다.

후기 단계 파이프라인(2b-III상)에 애브비의 타바파돈(tavapadon)과 IRLAB 테라퓨틱스의 메도페탐(mesdopetam) 등이 평가되고 있다.

애브비의 타바파돈은 도파민 작용제 시장에서 유망한 치료제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글로벌데이터가 평가했다.

회사는 최근 초기 파킨슨병에 타바파돈을 평가한 중추적인 3상 TEMPO-2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도파민 작용제 계열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D1/D5 부분 작용제인 타바파돈은 파킨슨병에 1일 1회 치료제로 임상시험 중에 있다.

타바파돈은 단독 요법과 보조 요법 모두에서 효능과 내약성을 보였다.

3상 임상시험에서, 레보도파와 병용으로 타바파돈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레보도파와 위약을 받은 환자들에 비해 문제성 운동 장애 없이 총 'ON' 시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타바파돈은 강력한 효능 데이터와 함께 개선된 안전성 프로파일 덕분에 도파민 작용제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글로벌데이터가 평가했다.

반면, UCB와 로슈는 파킨슨병에 대한 중간 단계 연구에서 실패했다.

최근, UCB와 파트너 노바티스는 파킨슨병 약물 후보인 민자솔민(minzasolmin)에 대한 2상 ORCHANCE 연구가 1차, 2차 최종 목표를 충족하지 못해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로슈와 파트너 프로테나도 파킨슨병 치료제가 2b 임상에서 실패했다고 보고했다.

프라시네주맙(prasinezumab)은 PADOVA 임상시험에서 초기 파킨슨병 환자 586명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 중이었다.

로슈는 프라시네주맙이 운동 진행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평가지표에서 잠재적인 임상 효능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다.

로슈는 데이터를 추가로 평가해 다음 단계를 결정할 예정이다.

회사는 2상 PASADENA와 2b상 PADOVA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