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출시, 대사질환 약물, 바이오시밀러 R&D 촉진 등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제약산업 매출이 연평균 6%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글로벌 제약 매출은 1조 5240억 달러에서 연평균 6.2% 성장해 2028년에는 1조 95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최근 '2024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하며, 2023년 베스트셀러 의약품 중 새로운 기전의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가 1위를 차지하고 대사질환 약물인 '오젬픽', '위고비', '마운자로' 등이 2030년까지 상위 10위권을 차지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기존 및 새롭게 출시되는 신약의 성장이 휴미라 등의 특허 만료로 인한 매출 손실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휴미라는 2023년, 스텔라라는 2024년, 레블리미드는 2025년 특허 만료로 매출 손실이 예상되는 가운데 위고비는 2028년까지 28% 이상, 오젬픽과 듀피젠트는 각각 10% 이상 성장률을 보이며 의약품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9.4% 성장하며, 2028년 752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저분자 의약품은 2024년에 1조 50억 달러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4.4% 성장해 1조 2035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보고서는 "중소기업과 신흥 바이오제약 기업들이 임상 파이프라인의 16% 이상을 차지하며 혁신적인 치료제를 선도하고 있다"면서 "종양학, 신경학, 대사질환 분야가 주요 연구 영역으로 성장중"이라고 분석했다.
중소기업 및 신흥 바이오제약 기업이 활성 파이프라인의 16%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상위 25개 제약사는 파이프라인의 10% 미만을 차지했다.
치료부분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종양학, 피부과, 위장병, 신경과가 2024년 전년 대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종약학은 2024년 18.7%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2028년 21.4%의 점유율이 예상되고, 신경정신과 분야는 2023년 8.3%에서 2028년 9.1%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근골격계 분야는 특허 만료와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경쟁 심화로 인해 휴미라 등의 주요 제품의 매출이 꾸준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비만 분양의 경우 2024년 20개 이상의 파이프라인 보유로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GLP-1 수용체를 타겟으로 하는 비만 치료제로써 릴리의 마운자로(Mounjaro),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 오젬픽(Ozempic)은 2024년 약 369억 달러 매출이 예상되는 것.
R&D 지출의 경우 2023년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는 7.9% 증가했지만, 2024년에는 코로나19 관련 제품 매출 감소와 규제 변화로 인해 2.5%의 성장이 예상되고 인공지능, RNA 기술, 단백질 분해 기술이 향후 주요 연구 분야로 부각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