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강행으로 야기된 의사와 정부의 갈등이 5개월을 넘었지만, 해결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많은 국민은 병원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고, 장기화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복귀한 전공의가 전문의 자격을 차질 없이 취득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지원하겠다며 복귀를 호소하고 있지만, 전공의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전공의에 대한 임용시험 일정도 다가오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 임용시험 지침에 따라 9월 1일 수련을 시작하는 인턴과 레지던트의 모집 대상과 일정 등을 이달 중순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또한, 2025학년도 입시도, 8~9일 재외국민 특별전형 원서접수가 시작되고 9월 수시모집, 12월 정시모집 등이 확정돼, 계획대로 진행된다.
이제 원점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됐다.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해 새로운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
필수의료, 지역의료를 살리기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의료계에서도 세대도 바뀌면서 개인적으로 워라밸을 중시하고, 힘든 일을 기피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세대가 변하면서 젊은 의사들은 필수의료나 중증응급 질환 분야, 지방의료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연스런 세대 변화로, 정부도 지역과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저수가와 법적 리스크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의대 정원만 늘린다고 이런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지난 4일, 전국 100여개 환자단체는 대규모 집회를 열고, 의사들의 명분 없는 휴진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환자들의 절박한 심정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정치권, 의료계는 의료공백을 멈추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