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간학회가 내년부터 만 56세에 해당되는 사람에 C형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크게 환영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난 3일 개최된 제2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위원장 복지부 2차관)에서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 도입이 결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한간학회는 4일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자를 조기에 찾아내 완치의 길로 이끌어 이들이 간경변증, 간암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C형간염은 무증상 감염이 대부분(약 70~80%)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없지만 경구용 치료제를 8~12주 투여할 경우, 98% 완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무증상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증 간질환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감염원을 제거해 C형간염 전파 확산을 막는 최선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B형간염 검진은 만 40세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돼 관리 중이나 C형간염에 대한 국가검진체계는 없는 실정이었다.
이번 결정에 따라 2025년부터 만 56세(2025년 기준 1969년생)에 해당되는 사람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C형간염 항체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정부의 결정에는 학회의 기여가 컸다. 대한간학회(이사장 서울의대 김윤준)와 한국간재단(이사장 서동진)은 그동안 많은 연구와 대국민 계몽 및 홍보 캠페인을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과 치료가 국민적 국가적인 과제임을 강조해 왔다.
최근 대한간학회는 질병관리청과 바이러스 간염 퇴치를 위한 정책 연구 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여러 연구를 통해 C형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의 근거를 제시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번에 국가건강검진에 도입된 C형간염 항체검사는 선별검사로써 검사결과가 양성이라고 하더라도 'C형간염 환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현재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진검사가 필요하다"며 "국민들께서 쉽게 확진검사를 받으실 수 있도록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간학회와 한국간재단은 질병청과 함께 C형간염의 예방, 진단, 치료에서 적극적인 전문가 의견을 개진하고 대국민 홍보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