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가 약 3400억원에 독일 백신 CDMO기업 IDT 바이오로지카를 인수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7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와 관련해 CEO 기자긴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안재용 사장은 "독일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 클로케 그룹(Klocke Holding GmbH)과 CMO 및 CDMO 전문회사 IDT 바이오로지카의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며 "당사는 이번 인수로 새로운 동력을 확보, 글로벌을 향한 본격적인 도약을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1921년 설립된 IDT 바이오로지카는 직원이 약 1800여명에 달하며, 총 6560억원 규모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에 설립된 100% 자회사를 통해 클로케 그룹이 보유한 IDT 바이오로지카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약 7500만 유로(한화 약 1120억원)의 신주를 포함, 회사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키로 했다.
주식 취득 완료 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최대주주가 된다. 클로케 그룹 또한 IDT 바이오로지카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안 사장은 "결과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약 2630억원의 보유 현금으로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면서 "양사의 교차 지분 인수는 사업 수행 능력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향후 SK바이오사이언스와 클로케 그룹은 IDT 바이오로지카를 공동 운영하며 경영 안정성과 새로운 성장을 함께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딜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백신 위탁생산 Top 10 수준의 회사를 매력적인 가격에 인수한, 주목할 사례로 평가받는다"면서 "기업 가치(Enterprise Value) 약 6560억원 규모 기업의 지분 인수 거래는 국내 백신 산업 역사상 최대 투자"라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즉각적인 2배 수준의 매출 신장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준의 품질을 충족하는 생산 역량과 고객 네트워크 확보 △미국과 유럽, 한국 등 글로벌을 잇는 통합 인프라 구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cGMP 수준의 글로벌 사업 인프라 확보
SK바이오사이언스에 따르면 IDT 바이오로지카는 15개 이상의 주요 글로벌 다국적 기업은 물론, 다수의 바이오텍, 연구기관들과 오랜 CDMO 파트너십 이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다양한 백신 및 바이오 의약품의 위탁생산 경험을 갖고 있다.
뎅기열 백신에 있어 장기간 협력해온 일본 다케다 제약이 대표적이다. 또, FDA와 EMA 승인을 획득한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생산자로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미래 성장동력 중 하나인 CGT 사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졌다.
높은 수준의 대규모 cGMP 설비를 바탕으로 미국 FDA, 유럽 EMA, 브라질 ANVISA, 국내 식약처를 비롯한 선진국 의약품 규제기관 및 글로벌 기업들에 대한 풍부한 대응 경험도 갖고 있다. 독일 정부와도 높은 신뢰를 기반으로 넥스트 팬데믹을 함께 대비하며 향후 5년 간 연간 8000만 도즈 규모의 비축 물량 계약도 확보하고 있다.
안재용 사장은 "이번 지분 인수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한 cGMP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확보하게 된다"며 "이를 기반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겨냥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항암 바이러스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신규 바이오 영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사장은 "개발이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다양한 제품들의 생산 기반이 확대돼 공급 시장과 대상을 다변화할 수 있다는 점과 넥스트 팬데믹에 대응할 핵심 공급망을 다양하게 확보한다는 점도 성장전략을 가속시키는 요인"이라며 "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가 맺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다양한 파트너십도 즉각적으로 IDT 바이오로지카의 사업 확장에 활용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IDT 바이오로지카의 인수가 재무 성과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하던 2022년 3억 1200만 유로(한화 약 4660억원)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후 팬데믹의 일회성 요인이 제거된 지난해에도 약 2억 7500만 유로(약 4100억원)의 매출을 확보하며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보였다.
지난해 매출 실적에서 코로나 백신 외 제품군이 차지한 비중 또한 95%로 높다. 기존 C(D)MO 계약들이 유지되고 있고 다양한 영역에서 신규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향후 매출 전망은 더욱 긍정적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매출을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영업이익도 매출 대비 20% 이상 수준의 안정적인 구조로 만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신규 과제 및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고 비용 최적화 전략을 통해 공장 가동률을 높이는 한편, 투자비와 운영비 효율화 등의 경영 환경 개선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최근 SK그룹이 계열사의 중복투자로 인해 사업재편 논의가 불거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안재용 사장은 "그룹내에 사업재편 논의가 있는 것은 맞다. 선택과 집중을 하기 위한 것이다"면서 "시기가 공교롭기는 하지만 이번 기회가 놓쳐서는 안되는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