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제조사들은 리쇼어링으로 긍정적 결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2020년 이후 글로벌 공급망은 지정학적 갈등, 무력 충돌, 기후 변화, 인구 통계 변화 등으로 인해 상당한 혼란에 직면했다.

이런 문제는 탄력적인 공급망의 필요성이 중요한 의료 기기 분야에서 특히 뚜렷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인공호흡기, PPE, 진단 장비 등 필수 의료 기기의 심각한 부족을 가져온, 이 분야의 취약성을 노출시켰다.

데이터 및 분석 회사인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이런 부족이 더 강력하고 적응할 수 있는 공급망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런 혼란에 대응해, 의료기기 업계의 기업들은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공급망을 재배치하고 있고, 장기적으로.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정부는 헬스케어와 같은 중요 산업을 특별히 목표로 하는 리쇼어링(reshoring), 니어쇼어링(nearshoring), 프렌즈쇼어링(friendshoring)에 대한 새로운 지원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리쇼어링은 공급망의 일부를 해외에서 본국으로 가져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니어쇼어링은 공급망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즈니스 운영을 소비자 지역에 더 가깝게 이동시키는 것이고, 프렌드쇼어링은 더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공급망을 보장하기 위해 비즈니스 운영을 정치적으로 제휴한 동맹국으로 이전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칩스법(Chips Act)과 인플레이션 감소법(IRA)과 같은 조치들이 의료 기기 분야에 영향을 미칠 반도체 등 중요한 분야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다른 중요 분야 사이에서, 생명 과학을 위해 국내 제조업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공급망 재배치 비용을 많이 들게 하는 느린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탄력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미래의 부족을 피하기 위해 이런 조치를 우선시하고 있다.

글로벌데이터의 보고서(Supply Chain Disruption)에 따르면, 대부분의 제조업체가 이미 공급망 리쇼어링을 시작했다.

라틴 아메리카와 멕시코와 같은 지역은 대규모 인재 풀과 고학력 노동력을 제공하는, 이전 제조업 지역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저렴한 인건비와 빠르게 성장하는 인프라로 인해 인기를 얻고 있다.

전체적으로, 리쇼어링, 프렌즈쇼어링, 니어쇼어링을 지향하는 추세는 의료기기 분야의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

이런 전략적 변화는 가장 필요할 때 중요한 의료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지속적이고 미래의 혼란에 직면할 때 회복력과 적응력의 향상을 목표한다고 글로벌데이터가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