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바이오시밀러 승인과 출시가 둔화됐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시밀러 약품 개발은 계속 증가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암젠의 '2022 바이오시밀러 트렌드 보고서'(2022 Biosimilar Trends Report)를 보면, 2015년 미국에서 첫 바이오시밀러가 도입된 이후, 2019년까지 매년 승인과 출시는 힘을 얻었다.

이 기간에, 미국에서 39개의 바이오시밀러가 승인 됐고, 이 중 22개가 출시됐다.

반면, 2020년과 2021년의 팬데믹 기간 동안, 미국에서 총 7개 승인과 8개 출시가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기간 동안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 4년간의 각 3월부터 글로벌 통계에서 바이오시밀러 개발 프로그램은 2019년 77개에 이어, 2020년 79개, 2021년 90개, 2022년 96개였다.

가장 잠재적 영향력 있는 바이오시밀러는 애브비의 메가블록버스터 휴미라(Humira)의 카피가 출시되는, 2023년 미국 시장에 다가오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3년 전 유럽에서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도입으로 브랜드 약품의 매출 점유율이 34%까지 떨어졌다.

반면 암젠, 산도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상위 3개 바이오시밀러는 현재 각각 20%, 19%, 1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암젠은 미국과 유럽의 바이오시밀러 활용을 비교하는 것은 헬스케어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라고 지적한다.

암젠의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암제비타(Amgevita)는 영국에서 41%부터 프랑스 19%까지의 점유율로 유럽에서 국가별 바이오시밀러 활용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서가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는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의 상업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증거도 제시했다.

2019년 이전에 출시된 바이오시밀러의 치료 분야의 경우, 3년 후 평균 시장 점유율은 39%였다.

최근 3년간 출시된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평균 점유율이 75%에 달한다.

바이오시밀러 약품도 일부 가격 인하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서 대부분의 바이오시밀러 약품은 의사가 처방하는, 의료혜택이 적용된다.

이 혜택에 포함된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오리지널 제품보다 10%에서 57% 낮은 도매가격으로 출시됐다고 보고서가 밝혔다.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진화하고 있다.

2022년 10월 기준, 3개의 바이오시밀러가 대체조제 가능한 상태로 승인됐다.

앞으로 5~10년 내에 상당수의 바이오 의약품들이 바이오시밀러 경쟁에 직면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새로운 바이오시밀러는 최신, 혁신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헬스케어 산업에 훨씬 더 많은 절감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서가 평가했다.

암젠은 지난 6년간 헬스케어 시스템에 총 절감액이 210억 달러, 올해 2분기에만 32억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