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오는 24일 ‘세계망막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황반변성’ 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7년 16만 6007명에서 2021년 38만 1854명으로 21만 5,847명(130.0%)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3.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1년 16만 1,894명으로 2017년 대비 106.0%(83,312명), 여성은 2021년 21만 9,960명으로 2017년 대비 151.6%(132,535명) 증가하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2017년 4만 3851명에서 2021년 12만 576명으로 175.0%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50대가 126.4%, 80세 이상이 117.6%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황반변성’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381,854명) 중 70대가 32.9%(125,642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31.6%(120,576명), 80세 이상이 18.6%(71,164명)의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7%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30.7%, 80세 이상이 17.7%를 차지했으며, 여성도 70대 32.3%, 60대 32.2%, 80세 이상 19.3%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은 의원급은 57%수준을 유지하였고, 상급종합병원은 2017년 20.2%에서 2021년 16.9%로 3.3%P 감소하였고, 병원급은 2017년 10.8%에서 2021년 14.9%로 4.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대비 병원급은 1만 9574명에서 6만 1083명으로 212.1% 증가하였고, 의원급은 127.2%(1만 4220명→23만 6765명), 종합병원은 112.2%(1만 9877명→4만 2172명) 순으로 증가하였다.
인구 10만 명당 ‘황반변성’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743명으로 2017년 326명 대비 127.9% 증가했다.
남성은 2017년 307명에서 2021년 629명(104.9%)이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7년 345명에서 2021년 857명(148.4%)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0세 이상이 3,73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80세 이상이 4,303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3,427명, 60대가 1,461명 순이다.
여성은 70대가 3,745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3,429명, 60대가 1,978명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황반변성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노인성 황반변성은 주로 50대 이후 발병하며, 선진국에서 60세 이상 인구 실명의 주요 원인이다”면서 “병명과 같이 노화와 관련이 있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병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황반변성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황반변성’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7년 1천 95억 원에서 2021년 3천 170억 원으로 2017년 대비 189.5%(2천 75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30.4%로 나타났다.
70대가 37.4%(1천 186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29.8%(944억 원), 80세 이상이 22.3%(707억 원)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가 각각 39.7%(650억 원), 35.0%(537억 원)로 가장 많았다.
2017년 66만 원에서 2021년 83만 원으로 25.9%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7년 79만 3천 원에서 2021년 101만 2천 원으로 27.6% 증가, 여성은 2017년 54만 원에서 2021년 69만 7천 원으로 29.1% 증가하였다.
80세 이상이 99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남성은 80세 이상이 121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119만 원, 60대가 97만 원 순이다.
여성은 80세 이상이 85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75만 원, 60대가 65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