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궁내막증(N8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0만 4689명에서 2020년 15만 5183명으로 5만 494명(48.2%)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3%로 나타났다.
입원환자는 2016년 1만 5669명에서 2020년 1만 7446명으로 11.3%(1,777명), 외래환자는 2016년 10만 1373명에서 2020년 15만 2152명으로 50.1% (50,779명) 증가하였다
2020년 기준 ‘자궁내막증’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55,183명) 중 40대가 44.9%(69,706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5.8%(40,087명), 50대가 17.4%(26,978명)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입원, 외래 모두 40대가 각각 49.2%, 44.9%를 차지하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016년 920명에서 2020년 2,028명으로 120.4% (1,108명)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70대가 81.4%(127명), 50대가 71.0% (11,199명) 순으로 증가하였다.
인구 10만 명당 ‘자궁내막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606명으로 2016년 414명 대비 46.4% 증가하였으며, 입원환자는 2016년 62명에서 2020년 68명(9.7%)으로 증가하였고, 외래환자는 2016년 401명에서 2020년 594명(48.1%)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자궁내막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712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172명, 50대가 633명 순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566억 원에서 2020년 1천 16억 원으로 2016년 대비 79.6%(450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5.8%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입원환자의 총 진료비는 2016년 402억 원에서 2020년 700억 원으로 51.9% 증가하였고, 외래환자는 2016년 164억 원에서 2020년 406억 원으로 147.7% 증가하였다.
2020년 기준 ‘자궁내막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47.5%(482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25.1%(255억 원), 50대 14.3%(145억 원)순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54만 원에서 2020년 65만 5천원으로 21.2% 증가했다.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환자의 1인당 진료비는 2016년 256만 4천 원에서 2020년 349만 6천 원으로 36.4% 증가하였고, 외래환자는 2016년 16만 2천 원에서 2020년 26만 7천 원으로 65.0% 증가하였다.
2020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19세 이하가 83만 8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20대가 76만 9천 원, 40대가 69만 2천 원 순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