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의 등장으로 국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있어 미충족 수요가 해소될 전망이다.

한국노바티스는 12일 국내 처음 출시된 MET 엑손 14 결손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타브렉타(성분명 카프마티닙)'의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타브렉타는 지난해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MET 엑손 14 결손이 확인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대해 허가받아 지난 3월 출시됐다.

이날 김상위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비소세포폐암은 원격 전이 시 5년 상대생존율이 8.9%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며 "대표적 MET 변이에 해당하는 MET 엑손 14 결손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3~4% 차지하는데, 예후가 불량해 충족되지 않은 의료적 수요가 높은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타브렉타는 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의 약물로, 세포 내 수용체의 인산화효소 영역에 결합해 MET 인산화 반응을 차단하고 MET이 주요 하위 신호 전달 경로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막는다. 즉, MET 엑손 14 결손 또는 MET 증폭을 보이는 폐암에서 유래된 종양의 성장을 방해하고 이를 퇴행시킨다.

김상위 교수는 "MET 엑손 14 변이를 가진 환자들 중 많은 호나자들이 뼈, 간 및 뇌 전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좋지 않은 예후와 연관성이 있다"며 "타브렉타는 MET 엑손 14 결손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빠르고 높은 반응률을 보였고, 특히 1차 치료에서 더 높은 반응률과 더 긴 반응지속기간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임상 2상인 GEOMETRY mono-1 연구에서 타브렉타를 투여한 환자 중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서는 68%,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에서는 41%의 객관적 반응률(ORR)이 나타났다. 또한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68%,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의 82% 등 대부분의 환자가 타브렉타 치료 시작 후 7주 이내에 빠른 반응을 보였다.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반응지속 기간 중간값(mDOR)은 12.6개월이었고, 치료받은 환자는 9.7개월이었다.

질병통제율(DCR)은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서 96%로, 28명의 환자 중 27명의 질병이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의 질병통제율은 78%로, 69명 중 54명의 질병이 통제됐다.

타브렉타는 뇌 전이 치료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뇌 전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13명(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환자 3명,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 10명)의 두개 내 병변에 대한 객관적 반응률(ORR)을 사후 분석한 결과, 완전관해를 보인 4명을 포함해 12명(92%)에서 질병 통제가 확인됐다.

김 교수는 "타브렉타는 총 373명의 모든 코호트 환자에서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며 "삶의 질 평가에서 1차 치료군과 2차 치료군 모두 개선·유지했다"고 언급했다.

국립암센터에서 진행된 한국인 대상 후향 분석 결과에서도 타브렉타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7.5개월에 그친데 반해 타브렉타 치료를 받은 환자 8명의 전체생존기간 중간값은 21.5개월로 나타나, 타브렉타 치료가 화학요법에 비해 전체생존기간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국내 허가된 MET 억제제는 타브렉타와 함께 머크의 '텝메코(성분명 테포티닙)'가 있다. 이 중 타브렉타가 출시돼 현재 비급여 처방이 가능하다.

김상위 교수는 “최근 들어 타브렉타와 같은 유전자 변이 표적치료제가 국내에서도 속속 허가되고 있는 만큼, 유전자 변이가 많은 비소세포폐암의 항암 치료를 결정할 때는 환자가 가진 암의 분자병리학적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맞춰 치료제를 선택해야 한다”며 “유전자 변이를 동반한 환자에서 그 유전자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치료제가 좋은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해당되는 유전자 변이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