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요 수술환자는 약 160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진료비용은 총 7조 200억원을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20년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33개 분야 주요 수술 환자는 연평균 1.1% 증가율을 보였다. 

분석대상은 환자의 진료일이 2020년인 입원 진료비청구명세서를 대상으로 했으며, 33개 주요수술은 OECD가 수집하는 백내장수술, 편도절제술, 관상동맥우회수술 등 15개 수술과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크거나 최근 수술인원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치핵수술, 일반척추수술, 뇌종양수술, 위 절제술 등 18개 수술을 포함했다. 

가장 많은 수술은 백내장 수술로 45만 4000명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일반척추수술 17만 9000명, 치핵수술 16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주요 수술 진료비용 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4조 9251억원에서 2020년 7조 204억원으로 연평균 9.3% 증가했다. 

2020년 진료비용이 높은 수술은 일반척추수술(9,182억원)이 1위를 차지했으며, 백내장수술(8,132억원), 스텐트삽입술(7,078억원)이 뒤를 이었다. 

주요 수술 건당 진료비는 2016년 275만원에서 2020년 359만원으로 연평균 7.0% 증가했다. 

2020년 건당 진료비가 높은 수술은 관상동맥우회수술(3,330만원), 심장수술(3,290만원), 뇌기저부수술(1,960만원)로 확인됐으며, 건당 진료비가 낮은 수술 치핵수술(115만원), 백내장수술(116만원), 정맥류 결찰 및 제거수술(137만원)로 나타났다. 

건당 입원일수는 2016년부터 연평균 2.2% 감소로 매년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입원일수가 긴 수술 슬관절치환술(20.4일), 고관절치환술(18.6일), 뇌기저부수술(17.6일), 입원일수가 짧은 수술은 백내장수술(1.1일), 정맥류 결찰 및 제거수술(2.1일), 치핵수술(2.6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대별 상위 5개 수술현황을 살펴보면 9세 이하에서는 편도절제술, 서혜 및 대퇴 허니아 수술, 충수절제술 수술 인원이 많았으며, 10대는 충수절제술, 편도절제술, 치핵 수술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20~30대는 제왕절개수술, 치핵수술, 충수절제술 순이었으며, 40대는 치핵수술이 가장 많았고 백내장수술이 뒤를 이었다. 

50대 이후부터는 백내장수술이 크게 증가했고, 60대 이후부터는 백내장수술에 이어 근골격계 관련 수술(일반척추수술, 슬관절치환술)등이 뒤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