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중소병원들의 경영남이 심각하다는 분석자료를 발표했다. 

병원, 의료기관 종별 중 최근 5년 폐업률 가장 높으며, 일반 법인사업자 폐업률과 비교해도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의료전달체계가 와해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의료정책연구소는 최근 5년간 의료기관 종별 폐업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을 제외한 의료기관(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의 평균 폐업률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대 미만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 의료기관 폐업률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7%대를 유지하며 의료기관 종별 중에서 병원의 폐업률이 가장 높았다. 

2020년 기준 병원 폐업률은 5.8%였던 반면, 반면 종합병원 3.0%, 요양병원 4.9%, 의원 3.4%이다. 

또한 최근 5년 의료기관 종별 건강보험진료비 총액을 살펴보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료비 누적증가율이 가장 낮은 반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됐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의료기관 종별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누적증가율은 상급종합병원 42.5%, 종합병원 44.7%, 병원 29.4%, 요양병원 29.2%, 의원 32.5%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폐업률을 6개 권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전라권이 다른 권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 기준 전국 병원 평균 폐업률은 5.8%, 전라권은 8.8%였다.

의료정책연구소는 “전남 지역의 인구감소 현상이 뚜렷하고, 지역 환자들의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현상 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 된다”면서 “지역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병원 시설 및 인력 등에 대한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정책연구소 우봉식 소장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발전을 위해 작금의 무분별한 병상 확장을 억제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병상수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동네의원과 중소병원은 지역사회에서 건강증진, 질병예방, 건강관리서비스 등의 역할이 강화되도록 관련 수가와 의료전달체계가 정비되어야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