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진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위드 코로나 전환에 대한 의료계의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전문가단체와의 협의 등 철저한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의협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29일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위드 코로나)과 관련해 대책 수립을 권고문을 발표했다.

우선 백신접종률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과학적이고 질적인 방역수칙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순히 숫자와 업소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방역이 아닌, 방역지침 수준과 감염신뢰 영역으로 구별해 방역지침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협은 "집된 지하철은 가능하지만 식당은 불가하다는 것은 근거가 없는 기준이다. 이미 함께 일하거나 가족인 사람들이 접종·미접종의 방역 기준으로 다른 처분을 받아서는 안 된다"면서 "감염신뢰버블(함께 밀접하게 생활하는 이들 중 개인 방역 수칙을 잘 지킴으로써 형성되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그룹), 접촉자 통보 등 합리적으로 방역수칙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꼐 코로나19일상회복지원위원회 구성, 전문가단체와 협의할 것을 촉구했다.

의협은 "코로나19일상회복지원위원회의 구성에 있어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진료현장의 목소리가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코로나19 환자 진료 관련 학회 등 관련 전문가 단체들을 포함해 재구성해야 한다"며 "감염과 방역 기준 설정에 있어서도 진료현장 중심의 과학적 기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을 위촉하라"고 당부했다.

또한 정부는 6주 단위로 평가하고 단계를 조정한다고 밝혔으나,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은 2주단위로 변화하는 만큼 5차 대유행을 대비한 조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규모 환자 발생에 따른 중환자 진료체계 수립 ▲재가치료에 대한 준비 철저 ▲생활치료소, 실질적 치료가 될 수 있도록 개선 ▲자가검사키트 사용 통제 ▲백신 접종 이후 합병증 사망 재난지원금 예산 편성 등을 요구했다.

의협은 "코로나 대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확진자 치료는 의료진, 의료기관들의 노고와 희생만으로 유지될 수 없다"며 "위드코로나로 인한 확진자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의료진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고 적절한 보상을 계획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회전반의 상황을 고려한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이 마련돼야 하는 시점이나, 이에 대한 전제조건은 개인 및 지역사회의 방역수칙 준수"라며 "정부는 우리나라의 공중보건위기 상황 극복을 위해 치료제 및 백신 확보와 개발에 보다 충실히 임하고, 국가의 방역대책 및 감염병 정책 수립을 위해 전문가 단체인 의협과 더욱 긴밀히 협의할 것"을 권고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