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의 주요원인인 C형간염 국가검진 검토에 정부가 13억원을 투입하고도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의 엇박자 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2015~2016년도 다나의원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 이후 수차례 C형간염 국가검진 항목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2016년부터 현재까지 약 11억 9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집단감염 사태 직전에 발주된 C형간염 연구용역까지 포함하면 2014년도 이후 7년간 12억 7000만원이 투입된 것으로, 정책결정을 위한 연구에 이례적으로 과다한 예산이 지출됐다는 지적이다. 

2015~16년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 이후 보건복지부는 C형간염 국가건강검진 항목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약속했고, 이후 질병청 주도로 '국가건강검진 내 C형 간염 검진항목 도입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2016~2017)'가 이뤄졌다. 해당 연구에서는 경제성평가 및 임상현실을 고려한 추가연구를 권고했다.

1차 연구결론에 따라 국가검진이 비용효과적인 방식인지, 국내 임상현실에 부합하는 정책인지 검증하기 위해 8억 5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2020~2021)'를 실시했다. 동 연구에서는 사실상 전 국민 대상의 국가검진이 타당하다고 결론을 냈다.

2차 연구에서 C형 간염 국가검진에 대한 타당성이 검증됐음에도 불구하고 2억 5000만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해 '국가건강검진 항목 중 C형간염 검진의 타당성 분석 연구 및 선별검진의 사후관리방안(2021~2022)' 연구용역을 추가 발주했다. 

보건당국은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서 정한 평가내용에 맞춘 근거자료 도출”을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이미 10억원 넘는 예산을 투입해 충분한 근거를 확보한 상황에서 또 다시 예산을 중복투입해 유사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 학계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반면 우리나라와 유사한 건강보험체계를 갖춘 프랑스와 대만은 C형간염을 국가건강검진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지난 2002년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C형간염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독일, 이탈리아, 이스라엘, 불가리아 등 수많은 국가들이 C형간염 퇴치를 위해 정부가 나서서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전봉민 의원은 “WHO를 중심으로 전 세계가 C형 간염 퇴치를 위해 글로벌 공조를 강조하는 시점에 국가검진이 가장 효율적인 정책수단이라는 결론을 이미 내리고도 결단하지 못하는 보건당국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국가건강검진을 총괄하는 보건복지부와 질병정책을 총괄하는 질병관리청 간 정책엇박자가 아닌지 의심한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10월 20일 ‘간의 날’ 보건복지부 종합감사에 대한간학회 임원진을 참고인으로 참석시켜, 정책결정이 지연됨에 따른 임상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