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가 코로나19 장기전 준비와 방역대책 전환을 위한 공공의료 확충을 요구하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노조 측은 정부가 보건의료인력 확충 및 공공의료에 관한 해결대책을 내놓지 않으며 오는 9월 2일 전면 총파업투쟁 돌입을 예고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9일 오전 11시 '코로나19가 던진 과제 해결'을 위한 136개 의료기관이 동시 쟁의조정신청에 관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난 5월말부터 본격적으로 대정부교섭, 산별교섭, 현장교섭을 진행해 온 보건의료노조 124개 지부(136개 의료기관)가 지난 17일 노동위원회에 동시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동시 쟁의조정신청에는 보건의료노조 196개 지부 중 교섭을 타결한 곳, 소수노조라 교섭권이 없는 곳, 폐업 등으로 교섭이 불가능한 곳, 원장 교체 등으로 교섭이 늦어진 곳을 제외한 124개 지부(의료기관수로는 136개) 56,000명이 참가했다. 

교섭 가능한 147개 지부 대비 85%가 동시조정신청에 함께한 것이다. 이렇게 많은 지부가 하루 한 날 동시에 쟁의조정신청서를 접수한 것은 23년 보건의료노조 역사상 2004년 주5일제 도입 총파업 이후 최대규모이다. 

쟁의조정신청에 참가한 의료기관으로는 ▲감염병 대응 최일선에서 싸워온 국립중앙의료원·24개 지방의료원·25개 적십자혈액원과 적십자병원·서울시 서남병원 등 감염병 전담병원을 포함하여 ▲서울아산병원·고대의료원·이화의료원·한양대의료원·아주대의료원 등 29개 대형 민간·사립대병원 ▲부산대병원·전남대병원·충남대병원 등 11개 국립대병원 ▲국립암센터·보훈병원·한국원자력의학원 등 13개 특수목적 공공병원, ▲녹색병원 등 19개 민간중소병원 ▲10개 정신·재활·요양기관들을 포함해 우리나라 주요 의료기관들이 대부분 포함돼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공공의료 확충·의료인력 확충 위한 8대 요구를 내걸고 총파업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천명했다. 

8대 핵심 요구사항은 공공의료 확충·강화 3대 요구 및 보건의료인력 확충·처우개선 5대 요구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감염병전문병원 조속한 설립, 코로나19 치료병원 인력기준 마련과 생명안전수당 제도화 ▲전국 70개 중진료권마다 1개씩 공공의료 확충 ▲공공병원의 시설·장비·인력 인프라 구축과 공익적 적자 해소 ▲직종별 적정인력기준 마련 및 간호사 1인당 환자수 법제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확대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교대근무제 시행 및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제도 전면 확대 ▲5대 불법의료(대리처방, 동의서, 처치·시술, 수술, 조제) 근절 ▲의료기관 비정규직 고용 제한을 위한 평가기준 강화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의사인력 확충과 공공의대 설립 등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