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이 ‘보건의료 데이터 관리기관’으로서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 1월 빅데이터전략본부를 신설하고 ▲데이터댐 구축 ▲데이터 개방 ▲데이터 활용 분야로 나누어진 중점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도별 로드맵도 수립했다.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전략본부 신순애 본부장은 17일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를 통해 “데이터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 자산”이라고 평가하며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을 선도하는 보건의료 데이터 관리기관으로서 위상 정립을 목표로 지속적인 노력을 해 나갈 예정”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지난해 7월 정부는 ‘디지털 뉴딜’로 데이터 기반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자본 투자 계획인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2월에는 ‘데이터 특별위원회’도 신설해 디지털 경제 대전환을 위한 국가 데이터 정책을 추진 중이다.
건보공단은 10대 대표과제 중 ‘데이터 댐’을 선정하고,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 확대 및 공공데이터 14.2만개의 신속한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데이터댐 구축=데이터 완결성 높여
공단은 보건의료 데이터 관리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데이터댐 구축, 데이터개방 확대, 내부업무 혁신, 4차 산업혁명 등 4가지 전략을 수립했다.
특히 데이터댐 구축은 공공기관 중심의 데이터를 연계해 민간 데이터 연계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데이터댐 구축은 3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국립암센터의 암 세부정보, 국세청 일용근로소득 정보 등 공공데이터를 축적한 다음 전자의무기록, 비대면자료, 의료기기 등 민간정보가 축적된다.
끝으로 커뮤니케어센터에서 생산되는 욕구평가, 서비스 제공내역, 웨어러블기기등에서 생산되는 데이터 등 미래에 생성될 데이터까지 표준화 및 공공화 형태로 축적되어 데이터의 완결성을 높이는 것이다.
신순애 본부장은 “가속화되는 디지털 경제 확산에 맞추어 데이터를 통해 실질적 가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통합적 관점의 데이터 정책의 재설계가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 본부장은 “공공기관 협력을 통한 데이터 댐 구축은 보건의료 데이터 수집을 위한 영역이 확대된다”면서 “공단 내 여러 사업을 통해 축적된 정보와 조각난 정보들을 개인 단위로 연계해 개인의 건강 관리 및 학술용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공단이 제시한 로드맵을 살펴보면 올해 하반기까지 정부 및 공공기관 중심으로 신규 데이터 수집과 연계를 강화하고, 2022년 데이터DB 연계한 후, 2023년 이후부터 의료기관 및 개인 Life-log 데이터 등 민간 데이터 연계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공단은 결합전문기관과 관련된 데이터3법 개정과 시행에 따라 변화된 빅데이터 생태계 변환에 민첩하게 대응하기위해 지난 6월 정보제공 기준을 마련했다.
신 본부장은 “결합전문기관에 정보 제공 시 결합목적의 적합성과 가명처리의 적정성 등 두 차례의 전문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안전한 데이터 공유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단은 빅데이터 보유기관이자 결합기관으로서 국민이 데이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데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