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건산업분야에서 창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7년 동안 창업한 기업은 8801개로 집계됐다. 창업기업 수는 2012년 736곳에서 2018년 1666곳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신규창업은 화장품 분야가 4,347(49.4%)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의약품 356개(4.0%), 의료기기 3,257개(37.0%), 연구개발 771개(8.8%), 기타 70개(0.8%) 등으로 나타났다.

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일 발표한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창업 기업의 고용인원은 6만 1678명으로 나타났고, 2018년 신규 고용 창출인원은 8225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창업 비중이 높아진 만큼 휴업이나 폐업하는 기업 수도 높아졌다. 

휴폐업은 2012년~2017년 동안 1,022개로 조사됐고, 창업기업의 전체 휴폐업률은 11.6%로 창업 연차가 오래 될수록 휴폐업률은 높게 나타났다. 

휴폐업률은 의약품이 15.4%(55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개발 14.0%(108개), 화장품 13.0%(563개), 의료기기 9.1%(295개)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창업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은 총 8,251명으로, 화장품 분야가 3,230명(39.1%), 의료기기 2,812명(34.1%), 연구개발업 1,432명(17.4%), 의약품 721명(8.7%), 기타 55명(0.7%) 등 순서로 나타났다. 

신규인력 중 연구개발인력은 총 2,85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사무직 2,719명, 생산직 1,649명, 영업직 712명, 기타 319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7년간 휴폐업 제외 생존 창업기업의 2019년 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6만 1,678명이고, 연구개발 인력은 1만 8,807명으로 전체 종사자 중 30.5%를 차지했다. 

기업 당 평균 종사자 수는  8.1명이고, 연구개발업 14.4명, 의약품 12.4명, 의료기기 7.9명, 화장품 7.1명, 기타 6.1명 등 순서로 나타났다.

향후 필요 전문인력(복수응답)은 연구개발이 56.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유통 및 마케팅 44.0%, 영업 32.3%, 생산 및 품질관리 30.5%, 인허가 21.9% 등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자금은 2억 6400만원으로 나타났고, 창업 이후 자금 조달액은 7억 12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의약품이 4억 9300만 원으로 창업자금이 가장 많이 들었고, 연구개발 3억 4800만 원, 화장품 2억 6100만 원, 의료기기 2억 39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금은 자기자금(69.0%), 민간금융(12.8%), 정부정책자금(9.3%), 개인 간 차용(8.3%) 순으로 나왔으며, 창업이후에는 민간금용(35.7%), 자기(본인)자금(31.1%), 정부정책자금(27.2%), 개인 간 차용(5.2%)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연차별 평균 매출액은 창업 1년차 3억 3500만 원에서 7년차 14억 9400만 원으로 증가했다. 

최근 7년간 창업기업의 2019년도 평균 매출액은 12억 1900만 원이고, 분야별 평균 매출액은 의약품이 21억 500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장품 14억 2000만 원, 의료기기 9억 5700만 원 등 순서로 나타났다.

2019년 12월 기준 연구개발 인력 보유 기업의 연구개발비 지출금액은 3억 9000만 원(평균), 매출액 대비 비중은 32.0%를 나타냈다. 

전체 보건산업 기업 중 65.9%의 창업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연구소 34.4%, 전담부서 17.3%)・인력(14.2%)을 보유하고 있었고, 연구개발비는 자체부담 2억 2600만 원과 정부재원 1억 2600만 원으로 자체부담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창업기업의 43.8%가 창업지원 사업 수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정책자금(68.6%), 연구개발(R&D) 지원(45.2%), 사업화 지원(38.6%)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강호 복지부 보건산업국장은 “2018년도 보건산업 분야 신규 창업은 1,666개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신규 고용도 8,251명이 창출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보건산업 분야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고,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를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