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에 진출한 다국적제약사가 지난해 투자한  R&D 비용이 4,837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가 35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국내 R&D 투자 현황’ 에 따르면 국내에서 진행한 임상 시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영역은 암과 희귀질환으로 전체 60% 이상을 차지했다. 

2016년부터 조사에 참여한 27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R&D 투자 비용을 살펴본 결과 2016년 3,614억원, 2017년 3,967억원, 2018년 4,597억원, 2019년 4,775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35개사 R&D 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은 2019년 기준 총 1,702명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다국적제약사 35곳이 진행한 임상 건수는 총  1,536건이었다. 

이와함께 기초 연구지원(10건), 비 임상시험(8건), 국내 개발 물질 도입, 국내 제약사 및 연구소와 공동 개발, 국내 병원 및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 등(16건) 공동연구개발이 추진됐다. 

KRPIA는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22건)을 통해 국내 신약 개발 역량 함양에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환자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하는 비용으로 지난해 1,595억원이 사용됐다. 

암과 희귀질환 임상연구 비율이 전체 임상연구 건 수의 약 60%를 차지했다. 

KRPIA는 "전세계 제약사 주도의 임상시험 프로토콜 국가별 비율에서 중국은 정부의 국가 신약개발 활성화 지원을 위한 전면적인 규제 개혁 단행을 통해, 6년 만에 점유율 4.29%p, 순위 11단계가 상승하여 세계 2위를 차지한 반면,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3년간 1단계씩 순위가 떨어져 ’17년 6위(3.51%), ’18년 7위(3.39%), ’19년 8위(3.25%)를 기록했다"면서 "우리나라도 임상시험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유관부처의 합리적인 정책 및 제도 개선을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신속한 치료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