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C형간염 발병 비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건강검진 항목에 진입시켜야 한다는 의료계의 주장을 드디어 보건당국이 받아들였다. 다만 그 첫발은 시범사업으로 떼게 됐다.
질병관리본부는 1일 C형간염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건강검진체계를 활용해 무료 검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시범사업은 만 56세인 1964년생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C형간염 검진 기간은 1일부터 내달 31일까지 두달간 한시적으로 이뤄지며 검사비용은 모두 보건당국이 부담한다.
검사는 C형간염 항체검사와 항체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대상자에 한해 확진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C형간염은 백신이 없고, 방치 시 간경변증(간경화), 간암으로 진행 가능성아 그동안 학계에서 C형간염의 건강검진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해 왔다.
C형간염에 감염되면 약 54~86%가 만성간염 상태로 이행하며 20~50년 동안 15~56%가 간경변증으로 진행, 간경변증 환자의 연간 1~5%에서 간세포암종 발생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시범사업 실시 후 고위험군 C형간염 유병률, 비용 효과성 등 결과를 분석해 향후 국가건강검진 항목 도입을 검토할 때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B형간염은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되어 관리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만56세(1964년생) 일반건강검진 미 수검자들이 적극적인 검진에 참여해 달라"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