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가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재평가 절차를 밟고 있는 치매치료제 콜린알포세레이트에 대한 제약사의 이의절차를 강력비판했다.

환자를 볼모로 제약사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의견서 제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 같은 제약사의 시간끌기 전략에 끌려다니지 말고 조속한 재평가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건약은 23일 '제약회사는 국민 의견 호도하는 뒷공작을 당장 멈춰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선별급여 결정 이후 제약회사는 약평위 결정에 대해 이의신청을 제출하면서 환자들의 본인부담금이 늘어나므로 환자에게 피해가 돌아간다"는 내용을 담았다"면서 "이러한 주장을 증명이라도 하려는 듯 제약회사 직원들이 회사에서 직접 작성한 환자 의견서를 들고 환자들의 동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와 보건복지부에 제출할 용도로 사용된다고 적혀있는 의견서에는 본인부담금을 현재와 같이 유지시켜 달라는 요청을 담고 있다"면서 "의견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로 막대한 이익을 챙기는 제약회사 직원의 요청으로 의원과 약국에 비치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약업계는 자기들의 탐욕적인 이익을 위해 환자 동의를 받아 환자들의 자발적인 의견인 것처럼 포장해서 제출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효과적이지도, 위급하거나 중대하지도, 대체 불가능하지도 않은 약에 대해 급여를 하는 것도 부당한 조치임에도 제약회사는 건강보험재정과 환자들의 돈을 털기 위해 환자들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건약은 "제약회사는 더 이상 국민의 요구를 왜곡해선 안된다. 그리고 뒷공작을 당장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은 효능에 사용되는 약제를 신속하게 급여목록에서 퇴출해야 한다"면서 "제약회사의 시간끌기 전략에 방관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효과가 제대로 입증되지 않은 약을 한 해에 180만명이나 복용하게 되었는지 규명해야 한다"면서 "제약회사의 영업전략과 일부 전문가의 맞장구에 불필요한 돈을 낭비한 것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면서 정부가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