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글로벌시장에 보급할 코로나19 백신 의약품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보건복지부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에서 생산하는 일부 백신을 국내 공급이 가능토록 AZ와 협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21일 아스트라제네카와 제너연구소(옥스퍼드 대학교)가 공동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의 글로벌 공급과 국내 물량 확보 협조를 위한 3자 간 협력의향서(LOI : Letter Of Intent)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사진 가운데)과 김상표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표이사 사장(왼쪽), 안재용 SK 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공급 협력의향서를 체결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사진 가운데)과 김상표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표이사 사장(왼쪽), 안재용 SK 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공급 협력의향서를 체결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제너연구소가 개발 중인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르면, 현재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중 임상3상에 진입하여 개발 가능성이 높은 백신 중 하나로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협력의향서는 ⧍백신의 공평한 글로벌 공급을 위한 빠르고 안정적인 생산 및 수출 협력 ⧍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 역량 강화 ⧍ 국내 공급 노력 등 3자 간 협조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SK바이오사이언스사에서 생산한 백신 물량 중 일부는 국내에 공급되도록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관계부처가 함께하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를 중심으로 투 트랙 전략을 추진해 개발속도가 빠른 해외 백신에 대한 신속한 확보와 함께 국내 기업의 자체 백신 개발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능후 장관은 “전 세계로 공급되는 백신의 생산에 한국기술이 기여할 수 있다는데 큰 자부심을 느끼며, 선제적인 국내 수급체계를 마련한 것도 큰 성과”라면서 “백신 개발 이후의 공평한 분배와 접근성 보장을 위한 국제 사회의 연대 노력에 한국 정부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